산업 기업

美조지아주 의원, SK이노 불법취업 의혹 조사 재차 촉구

'취업비자 없이 ESTA로 입국해 단체생활' 의혹

"3,500억원 혜택에 ITC 서한까지 보냈는데…"

SK이노 "ITC 소송과는 무관, 현지 조사에 협조"

더그 콜린스(가운데) 미국 조지아주 하원의원 /EPA연합뉴스더그 콜린스(가운데) 미국 조지아주 하원의원 /EPA연합뉴스



미국 조지아주 하원의원이 SK이노베이션(096770) 배터리 건설 현장 내 불법취업 의혹에 대한 조사를 재차 촉구했다.

더그 콜린스 하원의원(공화당·조지아주)은 26일(현지시간)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에 서한을 보내 “폐업한 양계장이 SK이노베이션 공장 건설에 필요한 용접공 양성소로 쓰이고 있다”며 SK배터리아메리카(SKBA)의 불법취업 문제를 조사해달라고 요청했다. SKBA는 SK이노베이션이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을 위해 설립한 자회사다.


콜린스 의원은 “지난달 초 양계장이 200명 이상의 한국인 근로자들에게 용접 기술을 교육하기 위한 훈련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면서 “지난달 폐쇄된 이 시설은 SKBA 건설 현장과 5마일도 채 되지 않는 거리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불과 5마일 거리에서 한국인 근로자들이 대거 용접을 배우는 건 우연이라고 보기 힘들다”며 불법취업 의혹을 제기했다.

콜린스 의원 측은 한국인 근로자들이 정식 취업비자를 발급받지 않고 비자면제프로그램인 전자여행허가제(ESTA)로 입국해 불법적으로 일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지난 5월에는 한국인 근로자 33명이 SKBA 공장 건설 현장에서 일하기 위해 ESTA로 입국하려다 애틀랜타 하츠필드 잭슨 공항에서 추방되기도 했다.

콜린스 의원은 또 “지난 19일 지역방송 폭스5의 보도 이후 유권자들로부터 한국인 근로자들이 30채 이상의 주택을 임대해 생활하고 있다는 제보를 받았다”면서 단체 생활을 하는 이들이 불법으로 건설 현장에서 일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폭스5는 조지아주의 배관·난방 종사자 노조인 ‘유니언72’가 “한국인 근로자들에게 일자리를 빼앗겼다”며 한국인 근로자 숙소를 촬영하는 등 증거 수집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SKBA 측은 건설 현장 근로자 채용이 자사가 아닌 협력업체 소관이라고 해명했다. SKBA는 “모든 계약업체에 연방정부 규정을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다”며 “문제 해결을 위해 현지 당국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SK이노베이션이 미국 조지아주에 짓고 있는 배터리 공장 전경 /사진제공=SK이노베이션SK이노베이션이 미국 조지아주에 짓고 있는 배터리 공장 전경 /사진제공=SK이노베이션


콜린스 의원은 이것이 조지아주에 대한 SK이노베이션의 ‘배신행위’라며 LG화학(051910)과의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소송을 언급하기도 했다. 콜린스 의원은 “조지아주는 SK에 세금 감면과 보조금, 토지 등 3억달러(약 3,500억원)에 달하는 혜택을 아낌없이 제공했다”면서 “나를 비롯한 조지아주 입법자들은 지역 일자리에 해를 끼칠 수 있는 ITC의 수입금지 조치를 막기 위해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SK가 조지아 주민들을 채용하겠다는 약속도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 불법적이고 부도덕한 행위는 SK를 지원해왔던 조지아주 납세자들에 대한 배신행위”라고 꼬집었다.

그동안 조지아주는 ITC에서 진행 중인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소송에서 SK이노베이션을 지지해왔다. 앞서 SK이노베이션의 조기 패소 예비 결정을 내린 ITC는 오는 10월 최종 판결 시점에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관련 부품과 장비 수입금지 조치를 내릴 가능성이 있다. 최악의 경우 미국 내 배터리 사업을 접어야 하는 위기에 처할 수 있는 셈이다.

이때 SK이노베이션이 미국에 투자한 약 2조원의 금액은 물거품이 된다. 하지만 미국 대통령은 공공의 이익을 들어 ITC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를 비롯한 미국 내 소송 이해관계자들이 ITC에 서한을 보내고 나선 것은 이 때문이다.

SK이노베이션 측은 “불법 취업 의혹은 ITC 소송과 전혀 무관한 별개의 사안”이라며 “현지 조사에 성실하게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