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軍, 코로나19 체크업 앱 출시···예측·예방에 도움

군 의료진·각 분야 전문가 등 앱 개발 참여

확진자·비확진자 모두 사용 가능···구글서 6억 지원

코로나19 체크업 앱 사용 화면.       /사진제공=의무사코로나19 체크업 앱 사용 화면. /사진제공=의무사



국군의무사령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측·예방에 도움을 주는 애플리케이션(앱)을 선보였다.

의무사는 군의관인 허준녕 대위(신경과 전문의)를 비롯해 군 의료진, 각 분야 전문가 등이 함께 개발한 ‘코로나19 체크업 앱’을 최종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앱은 지난 3월 의무사에서 자체 개발해 제공해왔던 코로나19 관련 모든 앱 서비스를 취합해 수정·보완한 것으로 확진자·비확진자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의무사는 “허 대위를 중심으로 진행된 앱 개발에는 하범만 의무사 보건운영처장(대령)과 박유랑·윤상철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 등 40여명이 참여했다”며 “미국의 다국적 기업 구글은 의무사에서 개발한 앱이 코로나19 대응에 공헌할 수 있도록 50만 달러(약 6억원)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코로나19 체크업 앱’은 스마트폰과 개인용 컴퓨터(PC)에서 모두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확진자용 서비스 △미확진자(일반국민)용 서비스 △체크업 그룹스(CheckUp Groups) 서비스를 제공한다.



허준녕 대위.         /사진제공=의무사허준녕 대위. /사진제공=의무사


확진자용 서비스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이용해 환자가 자신의 기본 정보와 증상, 과거력을 입력하면 예후예측 결과를 제시해주는 기능이다.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공받은 약 5,000여 명의 국내 확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통해 환자의 입원 필요 여부를 90%의 정확도로 예측한다.

미확진자(일반국민)용 서비스는 자신의 증상을 앱에 입력하면 선별진료소 방문 필요 여부 및 대처 방안을 안내해준다. 보건 관련 기관과 지자체에서 공개하는 확진자 동선을 기반으로 가상의 지도를 만들어 확진자와의 동선 일치 여부를 판단해 사용자의 감염 위험도를 예측해 준다.

체크업 그룹스 서비스는 직장·학교 등 단체생활이 필수적인 환경에서 개인별 건강상태를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는 기능이다.

의무사는 군 병원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체크업 앱 서비스를 도입해 환자 치료에 활용할 예정이다. 유튜브에서 ‘코로나19 체크업 앱’으로 검색하면 앱 사용법에 관한 동영상도 볼 수 있다.

허준녕 대위는 “확진자 증가 등으로 의료자원이 부족해질 경우 앱에서 제공하는 환자 예후예측 서비스 등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