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일시에 중단하지 않고 수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등 출구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된 후 정부가 지난 2월부터 실행했던 대출 만기 연장 등 각종 코로나19 금융 지원을 한꺼번에 회수하면 돈을 제때 갚지 못하는 이들이 늘면서 금융 부실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아직 은행 등 금융기관의 대출 건전성은 양호하지만 금융 지원 정책에 따른 착시 효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 당국은 코로나19 금융 지원 프로그램의 단계적인 상환을 검토 중이다. 돈줄이 마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대출이 급증한 가운데 코로나19 사태 이후 상환 단계에서 금융권의 충격을 최소화하겠다는 취지에서다. 금융 당국의 한 관계자는 “대출이 많이 나간 것을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며 “만기가 연장된 대출은 원금을 상황에 따라 조금씩 나눠서 갚을 수 있게 해주는 등 서서히 정상화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은행 등 금융기관의 대출 건전성은 매우 양호한 수준이지만 코로나19 금융 지원 정책으로 부실이 표면에 드러나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9월 말 기준 은행 대출 연체율은 0.30%로, 2007년 이후 최저치다. 은행 부실채권 비중도 0.65%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반면 은행들이 빌려준 돈을 떼일 가능성에 대비해 쌓아두는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9월 말 기준 130.6%로 1년 전보다 20.8%포인트 높아졌다. 은행들이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부실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손실 흡수 능력을 높이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 정부와 금융권은 신규 대출과 기존 대출 만기 연장, 이자 상환 유예 등 코로나19 피해 기업에 적극적인 지원책을 실행하고 있다. 2월부터 이달 20일까지 금융권에서 코로나19 사태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소상공인 등을 위해 집행한 금융 지원 규모는 총 235만 9,000건, 250조 9,000억 원에 달한다. 이 중 신규 대출과 만기 연장 규모는 총 198조 3,000억 원이다. 신규 대출이 88조 1,000억 원, 만기 연장이 110조 2,000억 원이다. 나머지 52조 7,000억 원은 보증 지원이다. 정책금융 기관에서 신규 보증 19조 7,000억 원, 보증 만기 연장 33조 원 규모의 지원을 실행했다. 업종별로 보면 음식점업(43만 건), 소매업(38만 건), 도매업(29만 건) 순이었고 여행·레저업과 숙박업에도 각각 8만 건, 3만 건의 지원이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