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특사경, 의약품 불법 제조·판매한 약사·의사 등 11명 검거

인치권 민생특별사법경찰단장이 3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무허가의약품 불법제조판매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인치권 민생특별사법경찰단장이 3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무허가의약품 불법제조판매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무허가 의약품을 제조해 다이어트 한약으로 판매하며 5년동안 1억원이 넘는 부당이익을 챙기는 등 불법으로 의약품을 제조·판매하거나 취급한 의약품 제조업자와 약사· 의사들이 경기도 수사에 덜미를 잡혔다.

인치권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장은 3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1월까지 의약품 불법 제조·판매행위를 수사한 결과 약사법, 의료법 등 위반혐의로 약사 2명, 의사 2명, 병원직원 2명, 한약재 제조업자 5명 등 모두 11명을 검거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A약사는 서울 소재 제분소 2곳과 청주시 소재 제분소를 통해 ‘환’ 형태의 무허가 의약품을 제조하고 2015년 4월부터 지난 4월까지 약 5년간 체지방 분해 및 비만치료용 의약품으로 179명에게 339건을 판매해 1억1,800만 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취했다. 도 특사경은 이 약사의 범죄행위가 중대하고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어 구속영장을 발부받아 구속 후 검찰에 송치했다.


B한약재 제조업체 공동대표 5명은 한약재 원료 및 완제품에 대한 품질검사도 하지 않고 과거 품질검사 완료 제품의 표시사항을 포장지에 거짓으로 부착하는 방법으로 총 11종 850.8㎏의 한약재를 불법 제조·판매했다. 이들 중 1명은 품목 미신고 한약재를 다른 도매상에서 구매한 후 H업체의 품목 신고된 한약재인 것으로 재포장하여 판매했고, 또 다른 1명은 H업체에서 제조한 한약재를 품목 신고 없이 가루로 만든 후 판매했다.

관련기사



처방전을 불법 교부·수령하거나 조제약을 배달한 사례도 있었다. 지난 2월부터 7월까지 병원 두 곳에서 처방전 대리수령 자격이 없는 C약사에게 요양원 11곳, 184명 입소자의 처방전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이메일로 불법 전송한 사실을 적발했다. 해당 병원 담당직원 2명은 처방전 불법교부 혐의로, 해당 병원 원장 2명은 주의·감독 소홀 혐의로, C약사는 처방전을 불법 수령한 혐의로 각각 검찰에 송치됐다.

또 D약사는 요양원 입소자들의 처방약을 본인의 약국에서 조제하기로 요양원과 협약을 맺고, 2016년 6월부터 올해 4월까지 제약회사와 의약품 도매상 영업사원을 통해 요양원 24곳에 조제약 79건을 배달했다. 의약품 오·남용 방지와 보관·유통과정에서 의약품이 변질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약사법에서는 약국 이외의 장소에서 의약품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인 단장은 “이번 사건들은 피의자들이 의약품과 관련해 금전적 이득을 취하려다 벌어진 일”이라며 “앞으로 도민의 건강을 담보로 부당이득을 취하려는 불법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의약품 관련 불법행위에 대해 수사를 지속,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