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기초자치단체 반발’…인천, 자체매립지·자원순환센터 차질 ‘불가피’

인천시 옹진군 영흥면 쓰레기 매립지 반대와 관련, 지난 1일부터 단식농성에 들어간 장정민 옹진군수./사진제공=옹진군인천시 옹진군 영흥면 쓰레기 매립지 반대와 관련, 지난 1일부터 단식농성에 들어간 장정민 옹진군수./사진제공=옹진군



인천시가 오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대비해 야심차게 마련한 자체매립지 조성 및 자원순환센터(소각장) 설치 계획이 해당 기초자치단체와 주민들의 반발로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인천시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대비, 2024년까지 옹진군 영흥면에 친환경 폐기물 매립지인 ‘인천 에코랜드’를 조성한 뒤 인천에서 발생하는 불연성 폐기물과 생활폐기물 소각재만 매립한다는 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시는 이어 광역 소각시설도 기존 3개(청라·송도·송도SRF)에서 7개로 늘리겠다며 권역별 센터 후보지도 함께 발표했다.

신규 후보지는 권역별로 중구·미추홀구는 중구 신흥동3가 69(남항 환경사업소), 동구·남동구는 남동구 고잔동 714-3(음식물류폐기물 사료화시설), 강화군은 강화읍 용정리 878-1(생활폐기물 적환장) 등이다.

그러나 3개 기초단체들은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대비한 인천시의 정책에는 공감한다”면서도 “소각장 건립이 시민 생활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공론화 과정과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어 “시의 자원환경시설 건립 계획안 중 중구 자원순환센터와 남동구 자원순환센터 예비후보지 건립 계획을 전면 철회하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획기적인 정책으로 쓰레기 재활용률을 95%까지 올리고 최대한 감량하면 기존 소각장에서도 처리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남부권에는 연수구에서 하루 530톤 처리가 가능한 소각장이 운영중이다.

관련기사



이들은 송도 소각장에서 권역 내 폐기물을 반입 처리하되 인구 증가 등 소각량 급격한 변동이 있을 경우 추가로 공동 협의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들 기초단체장들은 발생지 부담원칙과 함께 남부권 소각장 신설을 철회하는 것을 전제로 기초단체 간 합의된 의견을 시에 전달했다.

3개 기초자치단체는 최근 ‘남부권 자원순환 정책협의회’를 발족하고 남부권역 내 소각장 등 건립 예비 후보지 철회를 위한 공동 합의문을 작성했다.

장정민 옹진군수는 “인천시는 이달말까지 자체매립지 후보지 영흥면 발표를 즉각 철회하고, 자체매립지 선정 용역과 공모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길 바란다”며 “이 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영흥면 주민의 슬픔과 분노의 마음을 전달하기 위해 단식농성 등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인천시는 신규 광역소각시설 입지 후보지와 관련, 지역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의견 수렴 절차를 밟기로 했다.

인천시는 광역소각장(자원순환센터) 입지 후보지의 적정성 등에 대해 지역 주민과 충분히 의논하고 그 결과와 군·구 입장을 내년 1월 중 제출해 달라는 공문을 인천 10개 군·구 전체에 발송하기로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들 소각장 입지 후보지가 적정한지, 적정하지 않다면 다른 추천 후보지가 있는지 등에 대해 군·구 의견을 수렴한 뒤 타당성·추진 가능성 등을 검토해 반영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