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용신동·면목본동…도시재생 희망지 6곳 선정

지역당 최대 1억8,000만원 지원

2020년 도시재생 희망지사업 선정지역 위치도./사진제공=서울시2020년 도시재생 희망지사업 선정지역 위치도./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 희망지역 6곳이 선정됐다. 시는 지역당 최대 1억8,000만원을 투입해 재생사업을 위한 주민 공감대를 형성하고 추진 역량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도시재생사업 신규 희망지역으로 동대문구 용신동을 비롯 중랑구 면목본동, 관악구 대학동, 도봉구 도봉1동, 강서구 화곡2동, 중구 다산동 등 총 6곳을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도시재생 희망지 사업은 재생사업을 시작하기 전 추진 주체가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실시된다.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한편 역량 강화를 위해 주민들에게 도시재생에 대한 홍보·교육·소규모 환경개선사업 등을 진행한다.


시는 희망지 사업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살려 특색 있는 도시재생사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정 지역에 대한 지원금을 늘렸다. 사업기간은 전년도와 같은 1년이지만 지원금은 3,000만원이 늘어난 최대 1억8,000만원으로 책정했다. 주민모임 공간 마련, 도시재생 교육 및 홍보, 소규모 환경개선공사, 지역조사 및 도시재생 의제 발굴,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코디네이터 파견과 같은 기존 사업은 지속하는 한편 지역의 인문·사회·역사문화 자원조사를 강화해 독특한 인적·물적 자원 발굴을 진행하도록 했다.

관련기사



인문·사회·역사문화 자원조사는 해당 분야의 전문업체가 사업 기간 내에 진행한다. 도시재생의 주체인 주민들이 마을의 잊혀진 유래와 역사를 재발견하고, 마을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인식해 애착과 주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라고 시는 설명했다. 자원조사뿐 아니라 해당분야의 전문가 자문도 병행해 향후 지역별 특색이 뚜렷한 재생사업으로 발전시켜 주민들의 체감과 만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에 이어 희망지 사업 후 도시재생사업에 최종 선정되지 않더라도 가꿈주택을 비롯 골목길재생, 생활 SOC 구축 등을 지역 내에서 추진할 수 있도록 희망지 사업 생활권 범위를 행정동 단위로 설정하도록 했다. 같은 동에서 물리적·인적 자원 활용 범위를 확장해 지역에 필요한 각종 도시재생사업을 효율적으로 발굴하기 위해서다.

지난 2016년 19곳에서 도시재생 희망지 사업을 시작한 후 2017년 32곳, 2018년 15곳, 지난해 10곳을 선정해 지원하고 있는 시는 앞으로도 도시재생이 시급하고 필요한 주민들과 자치구에게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해 주민이 주도적으로 마을환경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키우도록 하는 한편 노후 저층 주거지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류훈 시 도시재생실장은 “희망지 사업은 주민들 사이에 도시재생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업추진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며 “앞으로 희망지 사업을 통해 싹튼 도시재생이 성공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