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유가 올라도 제품 수요 정체...정제마진 '제자리' [심층분석]

■한숨 커지는 정유업계

휘발유·경유가격 9개월만에 최고

코로나 여파로 제품수요 지지부진

정제마진 12월 배럴당 1.5달러 그쳐

업계 "4달러는 돼야 수익성 기대"

3115A14 두바이유



국제 유가가 지난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초반 수준으로 올라섰다. 원유 가격이 오르면서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은 9개월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사태 직격탄을 맞아 올 한해 최악의 적자를 본 정유업계로서는 반길 법도 하지만 덤덤하다 못해 위기감이 더 커지는 분위기다. 수익 지표인 정제마진 개선이 요원한데다, 향후 국제 유가 흐름을 낙관하기에도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최악의 보릿고개가 내년 상반기까지는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30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12월 넷째 주 국내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리터당 1,389.42원이다. 코로나19가 폭발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하던 지난 4월 첫째 주 1,391.59원 이후 9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라왔다. 한 때 리터당 1,050원대까지 떨어졌던 경유 가격도 리터당 1,190.07원으로, 4월 초 1,197.80원 수준에 근접했다.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 상승은 국제 유가가 기계적으로 밀어 올린 결과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여전한 상황에서 국내 수요 회복이 가격 상승을 견인한 게 아니라는 것이다. 국제 유가 변동은 2~3주의 시차를 두고 국내 휘발유 등 제품 가격에 반영되는데, 최근 배럴당 50달러를 회복했다. 국제 유가가 올랐지만 국내 제품 수요는 정체되면서 국내 정유업계의 수익성을 가늠할 수 있는 싱가포르 정제마진(제품 가격-원유 가격)은 12월 말 현재 배럴당 1.5달러에 머물러 있다. 정유업계는 정제마진이 4달러 정도는 돼야 수익성을 맞출 수 있다고 본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달러 올랐는데, 오히려 제품 가격은 9달러만 올랐다면 오히려 손해”라며 “유가가 오르더라도 더 중요한 것은 수요 증가에 따른 제품 가격 상승”이라고 설명했다.


더 큰 문제는 국제 유가 상승이 추세적으로 지속될 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이다. 최근 국제 유가를 끌어올린 직접적 배경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작이다. 하지만 영국 등에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사례가 나타나고 있는 등 불안이 여전하다.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센터 관계자는 “원유 실수요 증가로 국제 유가가 올랐다기보다 주요국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되는 데 대한 막연한 기대감이 시장에 크게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오히려 내년 초 석유수출국기구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모임인 OPEC+가 감산 규모를 줄이는 식으로 원유 생산량을 늘ㅈ리는 방안을 논의하는 등 공급 측 부담 요인이 적지 않다.

관련기사



이 때문에 내년 하반기 이후에나 업황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는다. 국제에너지기구(IEA)도 최근 코로나19 백신이 보다 널리 보급되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휘발유와 경유 수요가 제한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