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인턴비서 성폭행 의혹' 김병욱(무소속), 전면 부인부터 탈당까지(종합)

가세연 '인턴비서 성폭행 의혹'에 김병욱 "전혀 사실 아냐…역겹다"

국민의힘, 선거 악재 우려에 신속 대응…긴급 비상대책위는 결국 취소

김병욱, 결국 국민의힘 탈당 "결백 밝히겠다"…청년의힘은 비상체제로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가세연)’가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을 향해 ‘인턴 비서 성폭행’ 의혹을 제기한 이후 다음날인 7일 국민의힘 내에서는 다양한 움직임이 포착됐다. 가세연의 방송 직후 김 의원과 초선 동료인 같은당 김웅 의원은 해당 의혹을 강하게 반발했지만, 국민의힘은 재보궐선거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 신속히 긴급 비상대책위원회를 여는 등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결국 김 의원은 7일 국민의힘을 탈당했으며, 이에 비대위는 취소되고 당내 미니정당 ‘청년의힘’은 공동대표였던 김 의원의 부재로 비상체제로 전환됐다.

가로세로연구소 방송화면 캡처가로세로연구소 방송화면 캡처



■ 가세연 ‘인턴비서 성폭행 의혹’에 김병욱 “전혀 사실 아냐…역겹다


앞서 6일 전날 가세연은 방송에서 김 의원이 보좌관 시절인 2018년 10월 경북 안동의 모 호텔에서 다른 의원실 인턴 비서 A 씨를 성폭행했다는 목격담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의원실 비서 B씨가 당시 한방에서 자던 A씨가 성폭행당하는 장면을 봤다고 하는 말을 들었다는 내용이다. 다만 A·B씨가 아닌 제3자의 목격담 제보만 있는 상황이어서 더욱 정확한 사실 관계 파악이 필요하다는 게 당의 입장이다.

김 의원은 방송 직후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더럽고 역겨운 자들이 방송이라는 미명하에 대한민국을 오염시키는 현실에 분노한다”고 입장문을 내놨다. 이어 “이런 자들에게 취할 수 있는 수단이 법적 대응밖에 없다는 것이 안타깝다”며 “즉시 강력한 민·형사상 조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검사 출신의 초선 동료인 김웅 의원 역시 김 의원의 손을 들어줬다. 그는 “피해자가 존재하지 않는 데 무슨 성범죄라는 건지, 누군가 가세연을 동원했다”라는 내용의 댓글을 달기도 했다.

인턴 비서 성폭행 의혹이 제기된 국민의힘 김병욱 의원이 지난 7일 입장문을 내고 “결백을 밝히고 돌아오겠다”며 탈당 의사를 밝혔다/ 연합뉴스인턴 비서 성폭행 의혹이 제기된 국민의힘 김병욱 의원이 지난 7일 입장문을 내고 “결백을 밝히고 돌아오겠다”며 탈당 의사를 밝혔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 선거 악재 우려에 신속 대응…긴급 비상대책위는 결국 취소


국민의힘 측은 “추가 정황을 파악 중”이라며 신중한 태도로 일관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야기는 들었지만, 정확한 상황을 점검·검증해서 판단해보려고 한다”고 언급했다. 비대위 회의 사전 티타임에서도 관련 의혹을 보고받은 것으로 파악되지만, 그를 포함한 당 지도부 누구도 공개적인 언급은 하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한편 국민의힘의 한 핵심 관계자는 “위원장은 오늘 하루를 넘기지 않고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논란이 확산할 경우, 민주당 소속 전임 서울·부산시장의 성범죄를 부각하려는 선거 전략에 치명적인 악재가 될 수 있는 만큼 신속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 비대위 회의에서 김 의원에 대해 제기된 의혹을 검토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하겠다고 밝혔지만, 김 의원이 탈당 의사를 밝히자 회의를 취소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가 취소됐다고 밝히며 “자기가 결백을 입증하기 위해 밖에 나가서 법적 투쟁을 하겠다는 의미로 탈당을 한 모양”이라며 “본인이 국회의원 되기 전에 일어난 일에 대해 스스로 사실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그게 당에 부담을 준다고 생각이 들어서 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김병욱, 결국 국민의힘 탈당 “결백 밝히겠다”…청년의힘은 비상체제로

김 의원은 결국 이날 입장문을 통해 “당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탈당한다”며 “결백을 밝힌 후 돌아오겠다”며 탈당 의사를 밝혔다. 국민의힘이 청년 정치 양성소(인큐베이터)로 야심 차게 출범한 당내 미니정당 ‘청년의힘’은 공동대표였던 김 의원의 부재로 비상 체제로 돌입하기로 했다. 공동대표였던 황보승희 국민의힘 의원 1인 체제로 전환하고 4월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를 구성할 방침이다.


이혜인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