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탄소중립 속도내는 中...첫 국가주도 배출권 거래시장 운영

국가 차원 온실가스 배출 제한…“태양광·풍력발전 가속”

인민은행, 기업 해외융자 제한 완화…위안화 초강세 대응

중국 베이징의 화력발전소 굴뚝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고 있다. /블룸버그 자료사진중국 베이징의 화력발전소 굴뚝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고 있다. /블룸버그 자료사진



세계 최대 이산화탄소 배출 국가인 중국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국가 주도로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을 공식 운영한다.

8일 신화망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전국 단위의 탄소 거래 시장 구축을 위해 ‘탄소배출권 거래 관리방법’을 제정해 오는 2월 1일부터 시행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 다배출 업체 및 기관과 개인은 탄소 거래 시장에서 공개 경쟁입찰 등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거래할 수 있다.

이는 지난 2020년 8월 기준 7개 시범 지역에서 운영하던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을 전국 단위로 확대하는 조치다. 시범 지역 거래 시장에는 철강·전력·시멘트 등 20여 개 업종의 약 3,000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2011년 탄소배출권 거래 시범 사업을 시작한 중국은 누적 거래량 4억 톤, 액수로는 90억 위안(약 1조 5,200억 원)을 넘어서며 세계 2위 탄소 시장으로 성장했다.


중국 정부는 온실가스 다배출 업체의 기준도 명시해 전국 탄소 거래 시장 명단에 포함돼 있으며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2만 6,000톤CO2e(이산화탄소환산톤·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에 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했다. 이에 따라 중국 내 주요 탄소 배출 기업들은 매년 중국 정부가 인증하는 탄소배출권을 통해 5% 미만의 탄소 배출량을 상쇄할 수 있다.

관련기사



신화망은 이와 관련해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 등으로 관련 업계가 이산화탄소 감축량을 탄소 시장에 판매해 경제적 이익을 낼 수 있다는 의미”라면서 “탄소 시장이 구축되면 태양광과 풍력에너지 발전이 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중국은 지난해 12월에 열린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2030년 이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행동 계획을 만들기로 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유엔 기후목표 정상회의에서 2030년까지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65% 이상 줄이겠다는 목표를 공약한 바 있다.

한편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위안화 강세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자국 기업이 해외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적용하는 제한을 일부 완화했다. 인민은행은 7일 밤 낸 공고에서 자국 기업의 해외 융자 규모 상한을 산출할 때 적용하는 ‘해외융자조절지수’를 기존의 1.25에서 1.00으로 내린다고 밝혔다. 이 지수가 내려가면 기업들은 중국 밖에서 더 많은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며 최근 두드러지는 위안화 초강세 현상을 약화시킬 수 있게 된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