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한미약품 ‘백신·치료제·진단키트’ 지원 사격 나선다

한미약품 JP모건컨퍼런스서 2021년 비전 발표

코로나19 백신 생산설비 구축+치료제, 진단키트 개발

2개 신약 FDA 허가 예상 등 파이프라인 기대 커




한미약품(128940)이 백신 생산 설비와 치료제, 진단 키트 개발 등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종식을 위한 지원 사격에 나선다.

12일 한미약품은 온라인으로 열린 ‘제39회 JP모건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올해 사업 계획을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한미약품은 이날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의 구체적 비전을 제시하고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글로벌 전략과 로드맵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평택의 바이오플랜트를 중심으로 DNA·mRNA 백신 생산, 진단 키트와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평택 바이오플랜트는 화이자, 모더나 등이 개발한 mRNA 백신, mRNA 합성에 필요한 효소 생산이 가능한 GMP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 측은 “계열사 한미정밀화학은 뉴클레오타이드는 물론, 합성원료의약품(APIs)·중간체(intermediate)·펩타이드·리피드(mRNA 백신의 제제 원료) 등 다양한 원료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한미약품은 “백신 뿐 아니라 코로나19 예방·진단·치료에 이르는 전 주기 라인업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람다카라기닌 주성분의 ’한미 콜드마스크 비강스프레이‘를 최근 출시한데 이어 코로나와 독감을 동시 진단할 수 있는 키트 발매도 준비하고 있다. 또 신약합성화학물(NCEs)과 티모신(Thymosin α1) 호르몬 을 이용한 코로나 치료제의 전임상 후보 물질도 도출했다.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은 “한미약품은 mRNA백신과 DNA백신 위수탁 생산이 가능한 시설 기반의 다양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며 “글로벌 팬데믹 위기 극복에 기여하기 위해 여러 회사와의 협력 가능성을 활짝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미약품은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력 제품 매출 상승을 일군 한미약품의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을 강조하면서 주요 R&D 업데이트와 기대되는 연구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공개했다. 현재 한미약품의 580명 이상 전문 R&D 인력은 대사성질환 8개, 항암 12개, 희귀질환 5개, 기타 질환 3개 등 총 28개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롤론티스, 오락솔 등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시판 허가를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사 측은 “NASH(비알코올성지방간염) 치료 혁신 신약 등 염증-섬유화 치료제, 대사성질환 및 항암과 희귀질환 치료제 분야의 혁신을 토대로 글로벌 R&D 성과를 창출할 계획”이라며 “가까운 시일 내에 신약 2개가 FDA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을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