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78세 바이든' 최고령 美대통령 취임…최연소는 시어도어 루스벨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을 하루 앞둔 19일(현지시간) 부인 질 여사와 함께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 비행기에서 내리며 손을 흔들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을 하루 앞둔 19일(현지시간) 부인 질 여사와 함께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 비행기에서 내리며 손을 흔들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20일(현지시간) 역대 최고령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바이든 당선인은 지난 1942년 11월 20일 태어나 이날 낮 12시 만 78세로 대통령 임기를 시작한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첫 취임 시점 기준 최고령은 이날 퇴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었다. 그는 2017년 1월 취임 당시 만 70세였다.


그 이전에는 1981년 69세로 첫 임기를 시작한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최고령이었다. 레이건 전 대통령은 재선에도 성공하며 퇴임 시 최고령 대통령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가 1989년 퇴임할 때 나이는 77세였다. 바이든 당선인은 첫 임기를 마치는 시점의 나이가 82세로 레이건 전 대통령의 최고령 퇴임 기록을 넘어 설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트럼프, 레이건 다음으로 나이가 많은 대통령은 1841년 68세 나이로 취임한 윌리엄 헨리 해리슨 전 대통령이다. 그러나 그는 감기가 폐렴으로 이어지면서 불과 취임 32일 만에 숨졌다. 미 역사상 최단기간 대통령직을 지낸 이로 기록돼 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반대로 역대 최연소 대통령은 시어도어 루스벨트다. 그는 부통령을 지내던 1901년 9월 윌리엄 매킨리 전 대통령의 암살로 대통령직에 올랐다. 당시 나이는 42세였다.


그 다음으로는 1961년 43세 나이로 취임한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이다. 그도 1963년 암살되며 임기를 마치지 못했다. 이어 1867년 율리시스 그랜트(46), 1993년 빌 클린턴(46), 2009년 버락 오바마(47) 전 대통령도 40대의 젊은 나이에 취임했다.

관련기사



아버지와 아들 모두 대통령을 맡은 사례는 2번 있었다. 존 애덤스 전 대통령이 1797년 61세 나이로 미국의 2대 대통령에 취임했고, 아들 존 퀸시 애덤스는 1825년 57세로 6대 대통령이 됐다. 또 조지 H. W. 부시 전 대통령이 1989년 64세, 장남인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2001년 54세 나이로 대통령에 올랐다.

한편 미국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미국에서 태어난 시민권자로서, 14년 이상 미국에서 거주하고 35세 이상이어야 한다.

박동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