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시그널] 국민연금 "ESG D등급 기업에 추가 투자 안한다"

21일 국민연금 ESG플러스 포럼서 밝혀

산업재해·온실가스 기업은 중점관리

김용진 이사장 "ESG투자 선도할 것"

김용진(가운데)국민연금 이사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넬에서 열린 2021 ESG플러스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국민연금김용진(가운데)국민연금 이사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넬에서 열린 2021 ESG플러스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국민연금




국민연금이 앞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평가에서 D등급을 받은 국내 기업에 대해 벤치마크보다 초과해 편입하지 않기로 했다. 또 기업에 대한 ESG 평가에서 환경과 사회 분야는 가중치를 더 둔다. 국민연금은 위탁운용사를 선정할 때도 ESG 관련 평가 역량을 고려할 방침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21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국민연금이 함께하는 ESG의 새로운 길’ 포럼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책임 투자 방안을 밝혔다.



김용진 국민연금 이사장은 “ESG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일뿐더러 투자와 경영 리스크를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이라며 “국민연금이 ESG 투자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 노후 자금을 관리하고 주식·외환시장의 ‘큰손’으로 떠오른 국민연금의 ESG 투자에 대한 책임이 막중한 만큼 명확한 방향 등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맞춰 국민연금은 ESG 투자를 늘리기 위한 대책도 내놓았다. 이동섭 수탁자책임실장은 “위탁운용사 선정 시 ESG 책임 투자 요소를 고려해 책임 투자 정책 수립 및 지침이 있는 운용사에 대한 가점 부여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는 증권사를 평가할 때도 ESG 분석 보고서 실적 등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면서 “앞으로 ESG 관련 기업과 산업 분석 보고서 발간 실적을 상·하반기 거래 증권사 평가에 반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ESG 정보를 보다 많이 참조해 기업들의 ESG 정보 공시 확대, 자본시장의 책임 투자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국민연금은 ESG 평가 체계를 대폭 개선한다. ESG 평가와 관련해 13개 평가 항목과 52개 평가 지표에서 항목과 지표를 더 늘리고 기존 ‘지배구조’에 무게를 뒀던 평가 체계를 환경·사회 분야에도 확대한다. 이 실장은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반영해 산업재해 발생 건수 등 선정·관리 기준 검토 방안을 보고 있다”며 “환경 영역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온실가스 관리 시스템, 에너지 사용량 등 선정·관리 기준을 검토하는 방안도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연금 ESG 평가 등급 결과가 부진한 기업에 대해서는 추가 투자를 제한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국민연금은 매년 2회 정기 평가를 통해 AA(최상), A, BB, B, C, D(최하) 등 6개 등급으로 나눈다. 이 실장은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액티브 운용 종목 중 D등급 기업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벤치마크 편입 비율을 초과해서 편입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며 “오는 2022년 1월부터는 패시브 운용에서도 D등급 기업의 벤치마크 초과 편입을 금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 주식과 채권에 대한 ESG 투자도 강화한다.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런던·뉴욕·싱가포르 사무소에 ESG 투자를 관리할 위원을 파견한다. 현지 기관투자가와 협업해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교류를 확대하는 역할도 맡는다.

한편 지난해 말 국민연금의 운용 자산 규모는 834조 원에 달했다. 국내 주식 투자 금액은 177조 원(시가총액 7.4%)에 이르렀고 해외투자 규모 역시 304조 원으로 우리나라 대외 순자산의 54%, 외환보유액의 62%가 넘었다.

/임세원 기자 why@sedaily.com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