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코로나 무증상·경증 환자도 장내 미생물 균형 파괴

강북삼성병원 생활치료센터 입소 환자 12명 분석





무증상이나 경증의 코로나19 환자도 장내 미생물이 심각하게 불균형을 이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박동일·박수경 교수, 연구지원실 김한나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4월 경북 영덕 삼성인력개발원 생활치료센터의 무증상·경증 코로나19 환자 12명을 분석한 결과 장내 미생물이 심하게 불균형을 이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장내 유익균이 줄어들고 유해균이 많아지는 등 장내 미생물 균형이 깨지면 다양한 만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인체의 생리 현상과 대사·면역 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기사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서는 심각한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관찰되고 더디게 회복된다는 사실도 보고된 바 있다.

연구팀은 무증상·경증 환자에게서도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코로나19 환자의 양성인 시점과 음성인 시점의 대변 샘플을 각각 수집해 분석했다.

그 결과 동일한 환자의 장내 미생물 다양성이 코로나19 양성일 때 크게 줄었다가 음성인 시점에 다시 증가하는 등 불균형에서 균형을 찾아가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발견했다. 건강한 사람의 장내에는 박테로이데테스 계열의 세균과 퍼미큐테스 계열의 세균이 거의 비슷한 양으로 전체 장내 미생물의 90% 정도를 차지한다.

하지만 무증상·경증 코로나19 환자의 경우에는 박테리오데테스 계열 세균이 5% 수준으로 현저히 줄어들어 퍼미큐테스 계열 세균과 박테로이데테스 계열 세균의 비율이 매우 불균형한 상태로 관찰됐다. 이후 바이러스가 사라져 음성 판정이 나올 시점에는 박테로이데테스 계열의 세균이 30% 이상 수준으로 빨리 회복됐다.

박수경 강북삼성병원 교수는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방법을 고려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코로나19를 치료하고 회복 속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한나 강북삼성병원 교수는 “더 많은 표본에서 장내 미생물의 전체 유전자를 분석하는 등의 기술을 사용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