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여름철 기온 30℃ 넘을시 타이어펑크사고 66% 증가"

현대해상, ‘혹서기 교통사고 특성분석’ 발표





현대해상은 여름철 고온다습 현상으로 인한 타이어펑크, 불쾌지수 등과 교통사고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지난해 여름철(6~8월)동안 발생한 교통사고 23만 3,000건을 분석한 결과, 폭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타이어펑크사고는 기온이 30℃ 이상일 때가 그 이하일 때 보다 66% 증가했고, 타이어 교체를 위한 긴급출동 서비스도 3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특히 타이어펑크 사고의 치사율은 일반 교통사고 대비 12.3배 높고, 중상자 발생률도 3.4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만큼 폭염이 이어질 때에는 차량점검은 물론 운전시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김태호 박사는 “기온이 30도일 때 노면은 70도 정도의 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타이어로 전달되는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발생한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 공기압을 표준 압력보다 10~20% 정도 높게 하고 타이어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여 마모된 경우에는 미리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스탠딩 웨이브 현상은 자동차가 고속 주행할 때 타이어 접지부에 열이 축적되어 타이어가 터지는 변형 현상으로, 여름철 기온이 높아지면 아스팔트 온도가 50도를 넘게 돼 타이어가 터지는 현상이 증가한다.

또 장마 이후 고온다습한 날씨로 인한 운전자들의 불쾌지수 상승과 교통사고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소가 지난 2년(2019~20) 동안 전국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불쾌지수가 80이하일 때 보다 80초과일 때 사고가 15% 증가했다. 불쾌지수가 80이 넘는 날에는 하루 중 기온이 가장 높은 오후 2시~4시 사이에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20.7%)했으며, 20대(+7.4%p)와 60대(+1.9%p) 운전자를 중심으로 사고가 더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태호 박사는 “작은 불쾌감에서 시작한 운전자간 시비나 교통체증은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심리적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태호 박사는 “여름철 차량 운행시 장시간 에어컨을 켜놓으면 졸음운전 사고의 위험성도 높아진다”며 “졸음을 예방하기 위해 에어컨은 20~23℃를 유지하고 1시간에 10분가량 창문을 내려 환기를 해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