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성과공유제' 30대그룹으로 확대

산자부, 올해부터 서비스업도 포함…사실상 全대기업 도입<br>中企 원가절감·품질향상 노력에 큰 도움 될듯


대기업과 중소 하청업체가 협력해 얻은 이득을 함께 나누는 성과공유제가 사실상 모든 대기업으로 확산된다. 성과공유제 확산은 중소기업의 원가절감과 품질향상 노력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산업자원부는 24일 10대 그룹 제조업체 중심으로 운영된 성과공유제를 올해부터 30대 그룹 및 서비스업까지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성과공유제는 대기업과 협력업체가 공동 혁신활동을 통해 이룬 원가절감ㆍ품질향상 등을 공유하는 상생협력제도로 우리나라에서는 포스코가 지난 2004년 도입한 후 삼성전자ㆍ현대차ㆍ삼성전기 등이 실행해오고 있다. 산자부는 이날 한국생산성본부에서 30대 주요 대기업 구매담당자,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동조합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올해 제1차 성과공유제 확산협의회를 열어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성과공유제를 추진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공정을 개선하는 방안 및 설비투자자금을 대ㆍ중소기업 협력자금(500억원)을 통해 융자하고 한국전력의 시범사업 결과를 평가해 성과공유제를 공기업에도 본격 확산시키는 방안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자부의 한 관계자는 “성과공유제를 확산시키기 위한 업종별 표준계약서와 사업 모델이 자리를 잡으면서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며 “성과공유제 확산으로 대기업의 일방적인 납품단가 인하 압력은 줄어드는 반면 협력업체의 경쟁력은 크게 강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해는 LG텔레콤ㆍSK텔레콤ㆍKTㆍKTFㆍ현대중공업 등 주요 대기업들이 성과공유제를 본격 도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성과공유제를 처음 도입한 포스코의 경우 자재ㆍ구매 부문에서 포장ㆍ운송 등 외주 부문까지 성과공유제를 확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