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의도 나침반] 자본시장의 기능

미국 실물경제의 회복에도 불구하고 뉴욕 증시는 끝 모를 바닥으로 추락하고 있어 투자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실물경제와 자본시장의 움직임이 이처럼 엇갈리는 이유는 자본시장이 갖고 있는 서로 다른 기능이 충돌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자본시장은 신호 기능과 위험(혹은 수익)분산 기능을 갖고 있는데 이것이 부조화를 보이면서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미국의 실물경제는 뉴욕 주식시장으로 하여금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줄 것을 요청하고 있지만 일부 기업의 회계 불투명 등 미시적인 문제는 개별 기업의 위험을 증대시켜 주가를 떨어뜨리고 있는 것이다. 미국 증시의 약세가 신호기능에 의한 것이라면 국내 증시에도 큰 걱정거리다. 그러나 그것이 아니라면 국내 증시가 입을 타격은 크지 않을 수 있다. - 신삼찬<하나경제硏 연구위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