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쌍용자 인수/양측 대표 일문일답

◎생산차종 달라 ‘최적 파트너’/주당 인수가·상장여부 등은 미정/벤츠·아람코 등에 통보 양해얻어/쌍용 “자구본격화 조기 정상화할것”김태구 대우자동차회장은 『쌍용차 인수로 대우는 굉장한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됐다』며 『대우와 쌍용의 우호적 M&A로 국내차업계의 불필요한 과잉투자를 크게 줄일 수 있게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덕환 쌍용그룹 기조실사장은 『기술 및 자본제휴업체인 벤츠와 쌍용차의 최대주주인 쌍용정유의 대주주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사에 미리 양해를 구했다』며 『쌍용차 매각으로 쌍용그룹의 자구노력도 본격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주식 55.3%를 인수한다고 했는데 주당인수가격과 지분은. ▲김회장=주당 가격과 어느 계열사가 보유하게 될지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다만 대우차가 상당부분 지분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상장사인 쌍용과 비상장사인 대우차를 합병해 상장시킬 것인지도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벤츠와 아람코 등 기존 기술 및 자본제휴업체와는 어떻게 되나. ▲김사장=벤츠는 대우측 매각에 전폭적인 지지의사를 밝혀왔다. 대우가 쌍용을 인수한다고 해서 벤츠의 아시아전략이 변하는 일은 없다고 벤츠측으로부터 통보받았다. 쌍용정유의 최대주주인 아람코에도 통보, 양해를 구했다. 아람코는 석유사업외에는 간섭하지 않는다는게 기본 방침이다. ­아시아자동차 인수문제는 어떻게되나. ▲김회장=대우가 아시아 인수를 추진해온 것은 사실이나 그동안 아무런 진전이 없었다. 쌍용차 인수로 아시아 인수는 어렵게 됐다. ­정부, 금융권과 사전협의가 있었나. ▲김회장=지난달 쌍용쪽에서 매각의사를 타진해왔고 지난주말 기본합의를 마쳤다. 쌍용그룹 채권단과는 협의를 끝냈다. 하지만 정부와 긴밀한 협의는 없었다. ­대우와 쌍용은 쌍용차 인수와 매각으로 어떤 효과가 기대되나. ▲김회장=쌍용이 생산하는 차종은 대우가 생산하지 않는게 대다수다. 대우와 최적의 보완조건이다. 큰 시너지효과를 기대한다. ▲김사장=거품있는 사업을 제거했다. 이른 시일내 그룹을 정상화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각 기업들이 투자를 줄여잡는 IMF시대에 쌍용의 부채와 이자는 대우의 큰 부담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많은데. ▲김회장=내수가 어렵지만 수출로 뚫으면 된다. 대우의 탄탄한 수출네트워크와 해외서 호평받는 쌍용차가 결합하면 수출을 크게 확대시킬 수 있어 떠안게 되는 부채와 이자부담을 줄일 수 있다. 큰 문제는 아니다. ­벤츠의 지분을 확대할 것인가. ▲김회장=아직 미정이다. ­통상 기업 인수 계획은 협상이 완전히 종료된 후 하는게 관례다. 전격적으로 발표하게된 배경은. ▲김회장=오랫동안 끌면 오히려 바람직하지 않은 사안도 있다. 대우와 쌍용그룹의 상호신뢰가 큰 바탕이다. 모든 절차도 「선인수­후정산」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노조 등 인적자원 처리문제는 충분히 협의해 결정할 것이다.<정승량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