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인터뷰] 김동철 부품소재산업진흥원장

"부품소재기업-지원기관 연결 코디네이터 역할 최선 다할 것"


“부품소재업체의 기술 개발에서 사업화에 이르기까지 관련 지원기관을 연계하는 코디네이터로서의 소임을 다하겠다” 지난 7월 초대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 원장에 취임한 김동철(54) 원장은 3일 “내년부터 정부의 부품소재 분야 주요 지원체계가 진흥원으로 일원화돼 기업의 전 성장단계에 걸쳐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실제 부품소재 기업은 섬유ㆍ화학ㆍ금속ㆍ기계ㆍ전기ㆍ전자ㆍ자동차 등 크게 7개 분야로 나눠져 있어 이들 기업의 지원기관 창구도 분산돼 있다. 진흥원이 21개 공공연구기관으로 구성된 부품·소재 통합연구단의 사무국역할을 맡게 된 것은 바로 이런 배경에서 나왔다. 김 원장은 우리 기업들의 원천기술 부족과 관련 “우수 기술을 선진국에서 수입하거나 완제품을 모방하는 데 급급했기 때문”이라며 “진흥원을 주축으로 단일화되고 신속한 지원정책을 꾸준히 추진한다면 소득 2만 달러의 벽을 넘어 새롭게 도약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고 진단했다. 김 원장은 특히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 부품소재기업의 성장 단계에 맞춘 밀착 지원 등 중장기적인 접근과 관계부처간 협력에 의한 공동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영세 기업들이 기술 개발에 성공하고도 시장 진출에 실패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만큼 개발된 핵심기술을 실용화해 양산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설비자금을 지원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외국의 선진기술 전수를 위한 국제협력 사업을 확대해 기술개발, 기술지원 이외의 기업 성장 엔진 강화에도 힘을 보탤 방침이다. 김 원장은 “개발한 핵심부품을 사용할 대기업과의 연계 강화를 위해 부품소재 전문기업 협의체를 구성, 진흥원이 수요 대기업과 부품소재기업 쌍방간의 의견조율 및 협력관계 형성의 창구역할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