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韓·日 전자업계, 디지털 TV시장 경쟁

한국과 일본 전자업계가 차세대 디지털 TV시장의 패권을 놓고 '진검승부'에 들어갔다.18일 업계가 입수한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 자료에 따르면 일본 샤프의 독무대인 LCD TV시장에서 LG전자와 삼성전자, LG필립스LCD 등 국내 전자업계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지난해 4ㆍ4분기 LCD TV 시장점유율은 출하량 기준으로 샤프 70.5%, 파나소닉 15.7%, LG전자 10.4%, 삼성전자 2.1% 순으로 일본업계(86.2%)가 한국업계(12.5%)를 완전 압도했다. 그러나 올 1ㆍ4분기 일본업계의 점유율은 샤프 61.5%, 파니소닉 11.7% 등 총 73.2%로 축소된 반면 국내업계는 LG전자 17.6%, 삼성전자 7% 등 24.6%로 급격히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TV용 LCD 패널시장에서도 LG필립스LCD와 삼성전자의 성장이 주목된다. 작년 4ㆍ4분기 샤프 55.6%, 마쓰시타 21.9% 등 77.5%를 기록했던 일본업계는 올 1ㆍ4분기 샤프61.2%, 마쓰시타 9.8% 등 71%로 점유율이 낮아졌다. 반면 국내업계는 작년 4ㆍ4분기 20.1%(LG필립스LCD 16.9%, 삼성전자 3.2%)에서 1ㆍ4분기 27%(LG필립스LCD 18.4%, 삼성 8.6%)로 도약했다. 양국 업계간 접전은 미국시장에서 불붙을 전망이다. 샤프는 올들어 미국 LCD TV 매출을 작년대비 3배(20만대)로 늘린다는 계획 아래 13ㆍ20ㆍ30인치 LCD TV를 출시하고 도시바도 6월부터 미국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는 전략이다. 15인치에서 40인치에 이르는 화려한 라인업을 갖춘 삼성전자는 올해 LCD TV 50만대 판매를 목표로 내달중 미국에서 대규모 런칭로드쇼 행사를 가질 계획이다. 차세대 TV의 또다른 축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TV는 아직 시장형성이 이뤄지지 않았지만 양국간 경쟁이 벌써 불붙었다. 업계 추정자료에 따르면 작년 모듈생산을 기준으로 볼 때 일본 FHP(후지쓰-히타치 플라즈마디스플레이)가 월 4만1,000대로 최대 생산량을 과시했지만 다음으로 국내업체인 삼성SDI(3만1,000대)와 LG전자(3만1,000대)가 발빠르게 추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오니어(1만5,000대), 마쓰시타(1만4,000대), NEC(1만1,000대)가 그 뒤를 잇고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일 양국 전자업체들이 월드컵대회를 분수령으로 차세대 TV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 대대적인 증산에 나서고 있어 시장선점을 위한 경쟁은 갈수록 뜨거워질 것"으로 내다봤다. 임석훈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