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국인 주식투자비중 집계 구멍

투자자 보통주 거래후 신고 내역에만 의존<br>미보고땐 증권단말기등에 지분율 표시안돼<br>마땅한 제재 수단도 없어…대책마련 시급


외국인 주식투자비중 집계 구멍 투자자 보통주 거래후 신고 내역에만 의존미보고땐 증권단말기등에 지분율 표시안돼마땅한 제재 수단도 없어…대책마련 시급 전재호 기자 jeon@sed.co.kr 주식 투자에 중요한 판단 요소인 외국인 투자가의 지분비중이 제대로 집계되지 않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증권 단말기나 각 증권사의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등에 나타나는 외국인 지분율은 장외 양수도거래 신고내역을 근거로 집계되기 때문에 개별 종목 주식을 매매하고도 신고하지 않을 경우 정확한 지분율을 알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외국인이 상장기업 지분을 상당량 보유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증권 단말기에는 지분율이 ‘0%’로 표시되는 사례가 적지않다. 2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홍콩 국적의 카인드익스프레스는 지난 3월 초 에이치비엔터 보통주 150만주(6.76%)를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그러나 증권 단말기에는 지난해 12월19일부터 현재까지 외국인 지분율이 0%로 표시되고 있다. 홍콩 국적의 또 다른 펀드인 퍼시픽얼라이언스 에셋매니지먼트도 9월 컴퓨터 운영관리업체인 시스윌 지분을 기존 93만여주에서 170만여주(4.92%)로 늘렸다고 공시했지만 시스윌의 외국인 지분율은 8월 중순 이후 계속 ‘0%’에 머물러 있다. 또 미국 국적의 DKR오아시스는 4월18~19일 전환사채 권리를 행사해 엠피오 보통주 229만여주를 보유했다고 밝혔지만 4월27일까지 외국인 지분율은 표시되지 않았다. 능률교육에 투자한 테톤캐피털도 지난해 10월 4.86%를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했지만 증권단말기에는 3.04%로 표시됐으며 전자집적회로 제조업체인 매커스에 투자한 간다라마스터펀드의 지분율도 올해 1월3~12일에 1.54~2.12%였지만 이 기간 동안 증권단말기에는 0%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의 한 관계자는 “현재 외국인 지분은 이들의 신고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신고를 안할 경우 누락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신고 외에 외국인 지분을 알 수 있는 방안에 어떤 것이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 증권업감독규정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가는 유가증권 매매거래 내역을 ‘지체 없이’ 보고하도록 돼 있으나 이를 위반했을 때에도 제재할 수 있는 방안은 없다. 박상욱 서울증권 투자분석팀장은 “외국인 지분은 투자에 중요한 참고 지표로 쓰인다”며 “특히 코스닥시장의 경우 외국인의 지분투자는 투자심리를 안정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는 만큼 정확한 지분율 확인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6/10/29 17:3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