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소득 최상·최하위 사교육비 8배로 확대

최상위, 이미용·장신구 등 기타소비…최하위, 식료품 비중 가장 커

소득 최상위 계층의 사교육비가 최하위 계층의 8배에 달해 계층 간 사교육비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상위 계층은 전체 소비지출에서 이미용, 장신구, 잡비 등 기타소비지출의 비중이 가장 컸지만 최하위 계층은 식료품 비중이 가장 커 부유층은 자신을 가꾸는데, 빈곤층은 식생활에 가장 많은 돈을 각각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통계청의 전국 가구 2.4분기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소득 최상위 10%에 해당하는 10분위 계층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373만6천원으로 최하위 10%인 1분위 계층88만3천원의 4.2배였다. 이들 계층 간 10개 주요 소비 항목의 지출 격차를 보면 교양.오락 지출이 10분위(25만9천원)가 1분위(3만4천원)의 7.6배에 이르러 가장 컸고 가구.집기.가사용품7.4배, 교육 6.9배, 피복.신발 6.6배, 기타소비지출 6.4배 등의 순이었다. 특히 교육비 가운데 입시.보습.예체능 학원 등 사교육비 지출을 보여주는 보충교육비는 10분위가 월 평균 29만2천원을 사용, 1분위(3만6천원)의 8.0배에 달했다. 10분위와 1분위의 사교육비 격차는 작년 2.4분기 9.2배를 정점으로 같은해 3.4분기 8.3배, 4.4분기 7.6배, 올 1.4분기 6.3배 등으로 축소되다, 지난 2.4분기에 다시 확대됐다. 이와 함께 이들 계층의 10개 주요 소비 항목의 지출 비중을 살펴보면 10분위는 기타소비지출(82만8천원)이 22.2%로 가장 높았고 식료품(82만원) 22.0%, 교통.통신(62만4천원) 16.7%, 교육 9.3%, 교양.오락 6.9% 등의 순이었다. 이에 비해 1분위는 식료품(25만9천원) 비중이 29.3%로 가장 컸고 교통.통신(17만4천원) 19.7%, 기타소비지출(12만9천원) 14.6%, 광열.수도(6만5천원) 7.4%, 보건.의료(6만5천원) 7.3%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