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자산 중 예금비중 절반 이하

저금리 기조 영향, 지난 5년 투자형자산 증가율 예금형의 3~4배

주식 및 주식형펀드 투자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개인의 금융자산에서 예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밑으로 뚝 떨어졌다. 기업은행의 기은경제연구소는 ‘최근 국내 금융자산 변화의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한국은행의 자금순환동향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2년만 해도 예금은 개인의 금융자산에서 54.3%를 차지했지만 2006년에는 47.2%로 낮아졌다고 30일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부터 5년 동안 개인의 금융자산은 연평균 7.0%씩 늘어났지만 예금형 자산은 4.1%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동안 대표적인 투자자산인 주식은 연평균 13.3%, 수익증권은 16.1% 늘어 예금형 자산보다 3~4배 빠른 속도로 늘어났다. 특히 최근 펀드를 중심으로 한 주식 투자 열기에 힘입어 금융자산 중 수익증권의 비중은 2002년 4.8%에서 2006년에는 7.3%로 늘었다. 같은 기간 동안 주식의 비중도 14.6%에서 19.4%로 뛰었다. 최근 5년 동안 수익증권과 주식을 합한 투자 자산의 비중이 7.3%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이밖에 2006년 현재 보험ㆍ연금자산은 전체 금융자산의 22.7%, 채권은 2.6%로 나타났다. 기은경제연구소는 예금형 자산의 비중이 줄어드는 것은 그만큼 한국의 개인 금융자산 구조가 선진국형으로 전환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인구고령화로 연금형 자산이 증가하고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있는 점도 투자형 자산의 비중이 늘어나는 원인으로 꼽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