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김영호 "中企는 국가경제의 허리 대기업 못잖게 지원해야"

지난달 발족 '중소기업 시대포럼'


“중소기업 시대포럼은 중소기업 시대를 열기 위한 모임입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에 불공정 거래를 시정해야 이런 목표를 이룰 수 있습니다.” 지난달 문국현 유한킴벌리 대표, 이형모 희망포럼 운영위원장, 조동성 한국경영학회장 등 업계ㆍ정책당국ㆍ학계ㆍ금융계ㆍ시민사회 등 각계각층의 사회 원로대표 40명이 참여해 발족한 중소기업 시대포럼의 김영호(66) 상임대표(유한대학장)는 “국가 경제의 허리를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부흥이 필요하고 이는 바로 대기업의 경쟁력 강화로 연결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시대포럼을 통해 중소기업 정책이 정부 정책의 최우선이 될 수 있도록 사회적 컨센서스를 모아 나갈 것”이라며 “적어도 한 달에 1번 이상은 포럼을 열어 중소기업 관련 의제를 지속적으로 내놓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지난 5월 창립총회 겸 1차 포럼에 이어 오는 27일 2차 포럼을 열고 대ㆍ중소기업간 하도급이 수요 독점적 불공정거래라는 점을 부각시킬 생각이다. 모두 대ㆍ중소기업 간에 새로운 거래 질서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의 발로다. 김 대표는 “납품 가격이 대기업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다 보니 중소기업들이 기술혁신의 메리트를 느끼지 못한다”며 “이렇게 되면 대기업들의 품질경쟁력은 갈수록 떨어지게 되고 가격 경쟁력에 더욱 몰두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포럼은 대기업의 불공정 거래에 대해서 철저히 조사한 뒤 대기업의 등급을 매겨 발표하는 방안을 연구 중에 있다. 특히 공정거래위원회로 하여금 대기업의 불공정 거래에 대해 집중적인 조사를 실시하도록 촉구할 방침이다. 김 대표는 “강제력도 없고 형식적인 조사만으로는 실효를 볼 수 없다”며 “추후에는 이 같은 방안의 강제력을 위해 법제화도 추진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가 보는 중소기업의 현실은 암울하면서도 희망의 싹을 품고 있다. 그는 “중소기업의 절반이 고유가ㆍ환율 문제 등으로 향후 2~3년 내 위험스러운 처지로 내몰릴 것”이라면서도 “은행의 유동자금이 대기업이나 가계 쪽 대출보다는 중소기업으로 몰릴 가능성이 커 발전의 호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시대포럼은 6월 말께 포럼ㆍ중소기업ㆍ시민사회를 결합하는 트리플 얼라이언스(Triple Alliance)를 결성, 국가경제의 허리를 키우자는 ‘웨이스트 코리아 21(Waist Korea 21)’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젊은이들의 중소기업 취업을 장려하고, 대기업들이 성장동력을 중소기업에서 얻자는 취지”라며 “정부에 이런 인식을 건의하고 해결책을 같이 논의하고 강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포럼의 도덕성과 중립성 확보를 위해 정부나 기업으로부터 일체의 지원금을 받지 않고 회원사들의 회비로 포럼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연내 500여개의 회원사를 모집한다는 목표다. 한편 김 대표는 경북대ㆍ동경대 교수를 거쳐 지난 2000년에는 산업자원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 유한대학 학장으로서 중국 연변대 및 대구대 석좌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