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살리기 민간운동의 의미(사설)

외제상품 추방 운동이 국민운동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한다. 위기 국면의 경제를 살리자는 운동으로부터 시작된 외국상품 불매운동이 민간 소비자단체, 농민단체, 유흥업소등으로 번지고 있다.불매 대상품목도 모피의류 등 고가품에서 양주·담배·농산물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8월을 「외제선호심리 추방의 달」로 정하고 캠페인과 실태조사, 고발도 병행하기로 했다고 들린다. 경제가 어려운때 경제 살리기에 국민들이 나섰다는 것은 매우 모습이 좋다. 세계무역기구(WTO)체제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입이니해서 정부가 정책적 제약을 받고있는 때에 민간단체가 나선것은 바람직하다. 특히 광복의 달이어서 더욱 의미가 있다. 지금은 경제상황이 아주 나쁘다. 경기 불황에다가 기업들은 최악의 경영위기를 맞고 있다. 수출이 부진하고 경상수지적자는 부풀어 오르면서 나라 빚이 늘어나고 있다. 대외 신인도가 추락하여 해외자금을 빌리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한편에선 과소비가 진정되지 않고있다. 해외여행이 급증하여 여행수지 적자를 부풀리고 있다. 백화점엔 외제 상품이 넘쳐난다. 거리엔 외제차가 눈에 띄게 늘어가고 있다. 경제회생의 희망적인 구석이 별로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때 소비자 단체의 경제살리기 운동은 확산될수록 좋다. 경제살리기 요체는 우리것을 아끼고 애용하는 것이고 허리띠를 졸라매는 일이다. 다만 합리적이고 실질적이어야 한다. 지나치게 쇄국적이고 폐쇄적으로 흘러서는 곤란하다. 개방화, 세계화시대에서 경쟁력을 저해하거나 국제적 마찰의 빌미가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일과성으로 끝나서도 안된다. 외제 선호의식이 하루아침에 고쳐질 일은 아니다. 꾸준한 운동으로 의식속에 자리잡혀야 효과가 있다. 기업도 이 운동에 적극 동참해야 실효가 극대화된다. 기업이 할일은 더 좋은 제품, 외제보다 우월한 상품을 만드는 일이다. 그것이 시민운동에 동참하고 보답하는 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