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LH본사 이전 논의 다시 불 지핀다

국토부 협의회 23일 넉달만에 다시 열려<br>경남 진주·전북 전주 2곳 유치 경쟁 치열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의 지방이전 문제가 다시 본격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LH는 옛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가 합쳐진 자산규모 105조원의 거대 공기업으로 본사가 이전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 수입 증가는 물론 연관 파급효과가 만만치 않다는 점에서 어느 곳으로 본사를 옮기느냐가 초미의 관심사다. 13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LH의 지방이전 지역을 결정할 '제4차 LH 지방이전협의회'가 이달 23일께 열릴 예정이다. LH 지방이전협의회는 권도엽 국토부 제1차관과 이전 대상 지역인 경남도 부지사, 전북도 부지사,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 부단장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회의는 지난 3월 이후 무려 4개월여 만에 열리는 것이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6ㆍ2지방선거 등의 문제로 회의를 하지 못했다"며 "이제 선거를 마치고 새롭게 논의할 파트너가 결정된 만큼 본격적인 협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LH 본사 이전문제는 지난해 10월 주택공사와 토지공사가 통합되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공공기관 지방이전 원칙에 따라 당초 주택공사는 경남 진주, 토지공사는 전북 전주로 이전할 예정이었지만 양 기관이 통합되면서 본사 유치를 위해 두 지자체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전북은 사장실과 기획ㆍ경영 등 핵심 의사결정 부서를 전주에 두고 나머지 실무부서는 진주에 두는'분할 이전', 경남은 반드시 '일괄 이전'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주무부처인 국토부는 여러 차례 중재에 나섰지만 두 지차체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걸린 민감한 사안이어서 뾰족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번 선거를 통해 새롭게 당선된 김두관 경남도지사와 재선에 성공한 김완주 전북지사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의 기본 입장은 두 지자체가 원만한 협의를 통해 결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끝까지 협의가 되지 않을 경우 LH의 기능을 분리해서 두 지자체에 분산 배치하는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다른 공기관의 지방이전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공기관 통합의 상징 인 LH 본사 이전 문제를 언제까지 미뤄둘 수 없기 때문이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국토부가 중재안을 내놓기 전에 지자체들이 협의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이번 회의에서 지자체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 시간을 갖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