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상장사 40%가 부실 기업" 판정

LG경제硏 "환란때보다 양호하지만 급속한 증가가 문제" <br>'기업 부실수준 진단' 보고서

LG경제연구원은 국내 상장사 중 40%가 부실기업으로 판정됐으며 외환위기 때에 비해서는 양호한 수준이지만 부실기업 비중이 빠르게 늘어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들 기업의 부실이 표면화될 경우 국내 은행의 건전성 역시 악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LG경제연구원이 28일 발표한 ‘국내 기업의 부실수준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개별기업의 부실을 예측하는 Z값을 이용해 12월 결산 비금융 상장사 1,576개의 재무상태를 분석한 결과 628개가 부실기업으로 판정됐다. Z값은 미국의 경제학자 에드워드 알트만이 개발한 것으로 기업의 유동성과 수익성ㆍ안정성ㆍ활동성 등의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해 산출하는데 1.81보다 작으면 부실기업이고 2.67보다 크면 건전기업이다. 분석 결과 상장사의 평균 Z값은 2.22로 판정 유보 수준이고 지난 1998년 말 1.59에 비해서는 높지만 2005년의 3.03에 비해서는 꽤 낮다. 부실기업 비중은 높아져 9월 말 기준 Z값이 1.81 미만인 상장사의 비중은 39.8%로 외환위기였던 1998년의 57.7%보다는 낮지만 지난해 말의 26.1%(1,538개 중 402개)보다 무려 13.7%포인트나 올라갔다. 연구원은 부실 가능성은 코스닥 상장사일수록,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수출비중이 높을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반영하듯 코스닥시장의 부실기업 비중은 41.8%로 유가증권시장의 36.7%에 비해 높았고 중소기업은 43.6%, 수출기업은 41.0%로 각각 대기업(32.1%), 내수기업(39.4%)에 비해 부실 기업이 많았다. 이들 부실 기업들은 매출을 늘리기 위해 출혈 판매를 하면서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으며 이를 만회하기 위해 재고처분ㆍ투자축소 등의 노력을 하고는 있지만 효과는 신통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상수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때에 비해 기업 부실이 진행되는 속도는 더디지만 중소기업 위주로 광범위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외환위기 당시는 소수 기업집단이 문제였고 일시적으로 부실이 발생해 충격이 컸지만 지금은 다수의 중소기업이 쓰러지면서 일시 충격은 약하더라도 누적되면서 전체적으로 비슷한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부실 우려 기업들의 규모가 작고 재무정보가 충분하지 않아 부실기업을 파악하고 관찰해 대응하기가 쉽지 않은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