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5.3%

29개월만에 최고…올 목표 3%대후반 달성 힘들듯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대비 5.3%를기록,지난 98년 11월(6.8%) 이후 29개월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올해 목표했던 3%대 후반의 물가 상승률 달성은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재정경제부는 30일 '4월중 물가동향'을 통해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대비 5.3%,전월 대비 0.6%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과 2월 4.2%,3월 4.4%로 4%대를 유지했으나 4월에는 5%대를 넘어선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IMF(국제통화기금) 체제 직후인 지난 98년 6∼8%대를 오르내리다 98년 12월 4.0%로 둔화된 뒤 줄곧 4%대를 밑돌았다. 이처럼 물가 상승률이 치솟은데 대해 재경부는 지난해 4월 농축수산물 가격이 크게 하락했던 반면 올해 4월에는 겨울철 폭설 피해에 따라 출하가 늦어지면서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난달 할인행사를 벌였던 남녀 구두 등 가죽제품이 4월에는 할인 이전 가격으로 환원됨에 따라 많이 오른 것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전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 0.6% 가운데 농축수산물의 기여도는 0.22%p,가죽제품은 0.16%p,집세 및 개인서비스 요금은 0.12%p를 차지했다. 소비자가 직접 피부로 느끼는 생활물가 상승률은 농축수산물 가격의 앙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6.5%,전월대비 0.9%를 기록,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더 높았다. 한편 4월중 근원인플레이션(곡물 제외 농산물ㆍ석유류를 제외한 소비자물가 지수)은 다소 안정세를 보여 전년동월 대비 4.5%,전월대비 0.3% 올랐고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 대비 3.3%,전월대비 0.2%를 기록했다. 오갑원(吳甲元) 재경부 국민생활국장은 "올들어 4월까지 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던 농축수산물과 공공요금,교육비 등이 앞으로는 안정세를 보여 5월부터는 물가상승률이 낮아질 것"이라며 "지난해 하반기 물가가 크게 올랐던만큼 올해 하반기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개발연구원이 최근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4%에서 4%대 상회로 수정 전망하는 등 국내외 국책 및 민간연구소들은 정부의 이같은 견해와는 달리 환율상승과 경기부양책의 여파로 물가관리 목표를 지키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경제뉴스][경제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