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화물연대 파업' 돌파구 열리나

정부·화주측과 잇단 협상서 운송료 인상등 다소 진전<br>물류마비 확산 속 건설기계노조 파업 돌입<br>민노총 '쇠고기파업'은 찬성률 절반선 그쳐

'화물연대 파업' 돌파구 열리나 정부·화주측과 잇단 협상서 운송료 인상등 일단 공감물류마비 확산 속 건설기계노조 파업 돌입민노총 '쇠고기 총파업' 70%가 "찬성" 오현환 기자 hhoh@sed.co.kr 성행경 기자 saint@sed.co.kr 화물연대 파업이 나흘째로 접어든 16일 항만 등 주요 물류기능이 사실상 마비상태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화물연대ㆍ화주 측의 협상과 접촉이 잇따르면서 사태해결의 돌파구가 열릴지 주목된다. 컨테이너운송사업자협의회(CTCA)는 이날 오후 서울 방배동 전국화물자동차운송사업연합회관에서 화물연대와 운송료 문제를 놓고 2차 협상을 가진 자리에서 화물연대가 제시한 30% 인상 요구안에 대해 9~13%의 협상안을 내놓았으며 화물연대는 일단 이를 거부, 17일 오후 다시 협상을 갖기로 했다. 이에 앞서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팔레스호텔에서 김민영 ㈜국보 부회장과 이국동 대한통운 사장 등 14개 CTCA 사장단을 만나 운송료 인상 협상에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도 이날 저녁 서울 중앙우체국에서 삼성ㆍ현대자동차 등 30대 그룹 기조실장과 긴급 회동을 갖고 "화물연대 파업사태에 따른 피해는 기업뿐 아니라 우리 경제와 서민생활에도 직결된다"며 화주업계의 운송료 현실화를 강력하게 촉구했다. 이와 관련, 사태해결의 핵심 당사자로 협상에 미온적 태도를 보여온 대형 화주와 대기업 물류회사들의 태도변화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 및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화주들과 물류회사들도 운송료를 올려야 한다는 데는 일단 공감하고 있어 늦어도 17일을 기점으로 협상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측된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날 현재 운송거부 차량은 1만3,476대, 주요 항만 및 내륙컨테이너기지(ICD) 반출입량은 1만4,409TEU(길이 20피트 컨테이너 물동량)로 평소의 21.2%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전국의 물류마비 현상이 지속되며 기업들의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한편 건설기계노조가 총파업에 돌입한 이날 전국 건설현장 곳곳에서 공사에 큰 차질을 빚었다. 또 민노총은 미국 쇠고기 수입 반대 등의 구호를 내걸고 지난 10~14일 실시한 총파업 찬반투표 개표 결과 51만1,737명의 투표 대상자 가운데 27만1,322명이 투표에 참여, 16만9,138명이 찬성해 70.3%의 찬성률을 기록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화물연대ㆍ화주ㆍ컨테이너운송업계의 협상이 진전되지 않아 화물운송 차질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면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Yellow)'에서 '심각(Red)' 단계로 상향 조정하고 업무개시 명령도 검토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