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일반상품 수지 환란후 첫 적자

올 1~7월 37억弗…지난해 같은기간엔 105억弗 흑자<br>유가 상승등 영향 수입액 급증이 원인

올 들어 일반상품 수지가 환란 이후 처음으로 적자를 나타냈다. 일반상품 수지는 수입가격에서 운임ㆍ보험료 등을 제하고 소유권 변동 없이 해외에서 임가공하기 위해 국경을 넘는 경우 등을 수출에서 제외하기 때문에 무역수지보다 훨씬 엄격하다. 22일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지난 1∼7월 일반상품 수지는 37억4,590만달러 적자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5억1,140만달러 흑자에 비해 크게 악화됐다. 1∼7월 상품수지가 적자를 나타낸 것은 외환위기를 맞았던 1997년의 78억1,270만달러 적자 이후 처음이다. 같은 기간의 상품수지를 연도별로 보면 1998년 210억370만달러, 2000년 59억5,730만달러, 2002년 68억9,130만달러, 2004년 213억6,590만달러, 2006년 91억7,640만달러 등이다. 올해 일반상품 수지는 4월과 6월을 제외하고는 모두 적자였다. 월별 일반상품 수지는 1월 -18억7,980만달러, 2월 -14억8,620만달러, 3월 -7억5,90만달러, 4월 3억2,040만달러, 5월 -7억460만달러, 6월 20억6,070만달러, 7월 -13억550만달러 등이다. 일반상품 수지가 악화된 것은 유가급등 등으로 수입액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일반상품 수입은 1∼7월에 2,430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821억달러보다 33.2% 늘어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연도별 같은 기간의 일반상품 수입액은 2000년 852억달러, 2002년 770억달러, 2004년 1,141억달러, 2006년 1,598억달러 등이었다. 전영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국제수지상으로는 운수ㆍ가공 등을 포함한 상품수지로 보는 게 맞지만 상품 수출입의 본질적인 흐름에서는 일반상품 수지가 기준”이라며 “무엇보다 고유가로 원유 수입액이 크게 늘어난 것이 적자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상품수지 기준으로는 올해 1~7월 누적으로 48억4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