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벤처 새 패러다임 열자]M&A가 돌파구

'벤처기업 살리기'는 M&A제도 활성화로'살길은 M&A' 극심한 정보기술(IT) 경기침체 속에서 비즈니스 모델이 약하고 성장성과 수익성을 갖추지 못한 중소 벤처기업들이 기업인수합병(M&A) 시장에 대거 흘러나오고 있다. 경기불황의 골이 깊어지는 상황에서 M&A는 '재창조를 위한 파괴'로 인식되는 상황이다. 이미 M&A는 머니게임의 수단이라기보다는 벤처 구조조정의 가장 확실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소 벤처기업 인수합병을 활성화해 중소 벤처기업의 구조조정과 시장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 경기침체기에는 기업인수합병이 돌파구 국내 코스닥과 벤처시장은 지난 99년 전국적으로 벤처열풍이 불면서 중소 벤처기업들에 자금줄 역할을 했던 게 사실. 하지만 무리한 IPO, 정부의 '일단 키워놓고 보자'는 식의 벤처정책과 코스닥 육성정책으로 곳곳에서 후유증과 잡음이 흘러나오고 있다. 이 같은 경기침체기에는 M&A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부실기업은 과감히 인수해 경영진이 방만한 경영을 못하도록 경각심을 일깨워야 하고 사업모델이 유사한 기업은 한데 묶어 시너지 효과를 높여야 하는 것이다. 유나이티드M&A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에 비해 3~4배 많은 M&A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까다로운 M&A 조건과 벤처기업인들의 욕심으로 성공률은 극히 낮은 편"이라며 국내 M&A 시장의 열악한 구조를 꼬집는다. ◆ M&A시장 어떻게 살려야 하나 국내에서는 적대적M&A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막판에는 기존 피인수기업 경영진과 암묵적인 계약을 체결하는 우호적M&A로 변질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M&A 규정이 부실하다는 게 가장 큰 원인. 국내 증권거래법은 공개매수제도를 고집하는데 주식을 5% 이상 장내외에서 보유하게 되면 반드시 신고해야 하고 추가매입할 때마다 보고하도록 돼 있다. 또 피인수 타깃이 되는 기업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려 M&A를 방어하는 등 맞대응을 해 M&A가 난관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경우 은행에서 돈을 빌려 M&A를 방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업무정지 처분을 내리며 이를 어기면 형사범과 같이 취급한다. 또 주식 스와프(Swap)의 경우 피흡수 기업 주식의 90%를 인수해야 이를 인정하는 포괄주식교환제를 두고 있는데 이를 30~40%로 낮춰 주식교환을 통한 M&A를 활성화시키고 세제혜택도 부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결국 이러한 까다로운 규정과 제도 미비로 인해 적대적 M&A로 시작한 기업인수합병 작업이 피인수기업 경영진의 임기와 경영방침을 인정하는 우호적 M&A로 변질되고 이름뿐인 구조조정만 진행될 뿐이다. ◆ 벤처인의 도덕적해이 M&A 당사자인 벤처기업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도 개선돼야 한다. 장외기업인 S업체의 경우 코스닥등록기업과 합병을 진행하면서 회사의 기업내용을 그대로 밝히기보다 매출액과 영업실적을 뻥튀기하는 등 합병비율을 높게 받기 위해 전직원이 매달려 있는 상태다. 또 일부 부실 벤처 CEO의 경우 경영권 프리미엄을 과도하게 요구해 M&A를 무산시키고 이로 인해 회사내용이 더욱 악화하고 있다. 이금룡 옥션 사장은 "대기업에서 불고 있는 구조조정작업이 중소벤처 시장에서는 기업인수합병이라는 형태를 통해 본격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며 "경기침체 국면에서는 기업인수합병을 통한 자연정화 기능이 대세를 이뤄야 하며 이에 따라 기업인수합병 제도를 합리적으로 재정비하는 작업이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정명기자 정민정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