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환시장 직접개입 불가"

田부총리 시사…"적절한 대책 마련할 것" 전윤철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은 30일 외환당국의 직접시장개입을 검토하고 있지 않음을 시사했다. 전 부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세종호텔에서 열린 세종포럼에서 강연을 마친후 기자들과 만나 외환시장에의 직접개입 여부를 묻는 질문에 "직접 시장개입은 말이 안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전 부총리는 강연에서 "최근의 가파른 속도의 원화절상은 매우 안좋다"며 "필요하면 적절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언급, 원.달러 환율하락 속도를 조절하는 대책을 검토중이나 직접적인 시장개입은 고려하고 있지 않음을 내비쳤다. 이에 대해 외환시장 한 관계자는 "외환당국의 시장개입은 시장참여자들이 개입여부를 추정할 뿐 공식 확인해 주는 성격의 사안이 아니라는 원론적인 발언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전 부총리는 또한 "최근 외국계기업 대표들과 만난 자리에서 소득세.법인세 인하 등 세금을 깎아달라는 건의가 있었으나 우리나라가 세계경제 동반침체속에 지난해 3%대 성장을 이루고 신용등급 A등급을 회복한데는 건전한 재정이 배경이 됐다"며"조세정의와 형평을 고려해 신중히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경제동향과 관련, "수출 호조가 지속되고 있어 오는 6월말 하반기 경제운용계획을 짤때 경제전망을 수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 부총리는 다만 "공장가동률이 과거 경기정점때의 수준에 비하면 아직 조금의 여유는 있으나 설비투자는 크게 기대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 부총리는 "오는 10월까지 전자정부가 수립되면 65조원에 달하는 공공부문 조달이 B2B형식을 통해 이뤄짐으로써 유통체계가 크게 변하게 되고 각종 비리와 불필요한 비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전 부총리는 이례적으로 교육에 대해 "청년실업은 교육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며 "재경부가 교육에 대해 얘기하면 대학과 교육부는 신성불가침의 영역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