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서울銀·대생 매각가 못밝힌다"

한화계열 금융사투입 공자금 회수율 1%미만대한생명인수를 추진하고 있는 한화그룹의 계열금융사들에 외환위기 당시 투입된 공적자금의 회수율이 1%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는 공적자금 상환계획상의 서울은행과 대한생명의 매각예상가를 공개할수 없다고 밝혔다. 16일 재정경제부가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 자료에 따르면 한화그룹 계열사 한화종금과 한화투신운용에는 1조4천9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됐다. 재경부는 투입액중 5월말 현재 한화종금이 100억원, 한화투신운용이 30억원 등모두 130억원이 회수됐다고 밝혀 회수율은 1%에도 미치지 못했다. 또 한화그룹이 1대 주주였으나 퇴출된 충청은행에 투입된 공적자금에 대해 재경부는 "법상 한화그룹 계열사가 아니다"라며 투입 공적자금 내역에서 제외했다. 충청은행이 퇴출된 뒤 이 은행을 인수한 하나은행에는 충청은행 인수에 따라 1천433억원의 출자와 3천476억원의 풋백옵션, 그외 출연 등의 방식으로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됐다. 한편, 정부가 발표한 '공적자금 상환계획'에서 산정한 서울은행과 대한생명의매각 예상가를 밝히라는 이 의원의 요구에 대해 재경부는 "공적자금회수에 악영향을미칠 수 있다"며 밝히기를 거부했다. 유재한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은 이에 대해 "서울은행과 대한생명의 매각이 완전히 마무리되면 매각예상가 공개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