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청년층 '高실업·低임급'

2004년 실업률 8.3%속 저임 비중도 15.3%로 증가세

청년층이 높은 실업률과 낮은 임금이란 이중고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동연구원은 2002~2004년 취업상태를 유지한 15~29세 청년층 1,038명을 조사한 결과 저임금근로자 비중이 2002년 10.0%에서 2003년 13.3%, 2004년 15.3%로 계속 상승했다. 저임금 근로자는 전체 임금근로자 임금의 중간 값의 3분의 2 이하를 받는 근로자로 2004년 기준으로 월 93만3,000원 이하를 받은 이들이 해당된다. 같은 기간 청년실업률은 2002년 7.0%에서 2003년 8.0%, 2004년 8.3%로 해마다 상승세를 이어왔으며 지난해에도 8.0%로 전체 평균 실업률을 2배 이상 웃돌았다. 청년층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남성의 경우 2002년 5.6%에서 2004년 6.5%로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 반면 여성은 같은 기간 15.5%에서 26.2%로 급증, 청년층 여성 4명 가운데 1명 꼴로 저임금에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17.0%)의 청년층 저임금근로자 비중이 300인 이상 기업(8.4%)보다 2배 이상 높았다. 한편 청년층 저임금근로자의 23.1%가 1년 이상 저임금 근로상태가 유지됐고 10.6%는 2년 이상 저임금근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저임금 상태가 장기화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별로 청년 저임금근로자 비중은 제조업(20.1%)이 가장 높았고, 교육서비스업(12.6%), 도소매업(11.9%), 보건ㆍ사회복지업(11.9%) 등의 순이었다. 노동연구원 연구원은 “청년실업을 줄이기 위한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노동시장에 진입한 청년층이 안정된 고용을 유지하고 적절한 임금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