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송현칼럼] 변화와 기술경쟁력 확보

박호군<인천대 총장>

우리는 변화의 시대를 살고 있다. 하루하루 쉴새 없이 새로운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동물복제 연구의 성공으로 복제소 ‘영롱이’가 탄생하고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우수성을 떨친 데 이어 최근에는 개 복제에 성공했다는 반가운 소식을 접했다. 국외에서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탐사선 ‘딥 임팩트’가 혜성 ‘템펠 1’과의 충돌에 성공하기도 했다. 변화의 정도가 빠르다는 것을 우리는 느낌으로 알고 있지만 그 정도가 얼마만큼인가를 표현하기는 참으로 어렵다. 변화의 속도를 간접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척도로는 인구변화를 들 수 있다. 지구상의 인구는 기원 원년에 약 1억5,000만명이었던 것으로 추산된다. 1100년께에는 3억2,000만명, 1700년께 6억1,000만명, 1900년에 16억2,500만명, 1960년에 30억명으로 각각 증가했다. 현재는 60억명을 넘어섰고 2050년에는 100억명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기원 원년부터 인구가 2배로 증가하기 위해서 1,100년의 세월이 필요했지만 그 후에는 600년, 150년, 그리고 60년 만에 2배씩 증가했고 최근 30억에서 60억으로 증가하는 데 단 40년이 걸렸다. 이 같은 현상은 미국 인텔사의 공동창립자인 고든 무어가 제안한 무어의 법칙(반도체 칩의 집적도는 18개월마다 2배씩 늘어난다)에서도 읽을 수 있다. 원년의 집적도를 1이라고 할 때 5년 후에는 10배, 10년 후에는 100배, 15년 후에는 1,000배, 20년 후에는 1만배, 28년 후에는 10만배로 증가한다. 인구 측면으로는 지난 2000년의 변화를 능가하는 변화가 최근 40년 동안에 이뤄졌고 반도체 측면에서는 5년마다 10배가 증가하는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워낙 급격해 선형이 아니라 기하급수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98년 발표된 ‘한국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당면과제는 선진국과의 지식격차를 줄이는 것이다. 지식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술역량의 조속한 확충이 필수적이다. 99년 미국 스탠퍼드대학에서 미국 경제성장에 기여한 생산성의 3대 요소를 조사한 결과 자본 24%, 노동 27%, 그리고 과학기술이 49%로 나타났다. 선진7개국(G7) 국가들은 모두 3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과학기술의 발전 없이는 선진대국이 되기 어렵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우리나라는 2000년 조사한 결과 생산성에 미치는 과학기술의 정도가 19%로 나타났다. 바로 이것이 국가경쟁력의 차이로 표출되고 있다. 각국의 일류상품숫자(2001년도)로 비교해보더라도 그 격차를 가늠할 수 있다. 미국의 일류상품이 924개, 중국 460개, 일본 326개, 홍콩 206개, 대만 122개, 그리고 우리나라가 76개를 기록했다. 2004년 조사에 의하면 미국이 954개, 중국 753개로 늘어난 반면 일본이 318개, 우리나라는 53개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킨지의 ‘비전 2010 한국경제’ 보고서에는 우리나라 노동투입이 미국의 140%, 노동생산성은 미국의 36%, 1인당 자본투입은 47%로 발표됐다. 노동생산성면에서 볼 때 미국인 두 사람의 몫을 우리는 아홉 사람이 해야 된다는 충격적인 자료이다. 이러한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포스코의 경우에서 배울 수 있겠다. 포스코가 어려운 여건에서도 세계적인 기업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강력한 리더가 있었다는 점과 정부의 보조금이 중단된 후에도 제품가격을 국제가에 맞추도록 해 국내시장에서도 국제경쟁 상황을 그대로 유지했기 때문이다. 지속적으로 국제가격 수준에 맞추기 위해 기술개발을 통해 자사 제품의 가격을 인하했고 수익성 유지를 위해서는 운영상의 개선을 끊임없이 모색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고 빠른 변화 속에서 살아남는 길은 변화의 속도를 끊임없이 선도하고 고유기술을 개발해 지식격차와 기술격차를 줄이는 노력을 지속하는 것임이 분명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