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대외 경제환경 악화에 대응력 키울 때

환율하락ㆍ고유가ㆍ금리인상 추세 등 우리경제를 둘러싼 대외여건이 좋지않은 쪽으로 기울고 있어 걱정이다. 물로 이들 요인이 한 방향으로만 작용하지는 않고 서로 부정적 효과를 상쇄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우리경제에 부담일 수밖에 없어 경기회복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연방기금 금리를 4.25%로 또 0.25%포인트 올림으로써 미국과 한국간 금리차이는 다시 0.50%포인트로 벌어졌다. 이에 앞서 유럽연합도 금리를 올렸으며 일본도 제로금리 포기가 시간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이 같은 금리인상은 우리에게 고민거리가 아닐 수 없다. 금리를 그대로 두면 금리역전에 따른 자본유출이 우려되지만 경기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하면 금리를 선뜻 올리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FRB의 발표문을 근거로 미국의 금리인상 행진이 마무리 단계에 온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 중단은 우리의 금리인상 압박요인이 줄어든다는 점에서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달러화 약세를 야기해 환율하락세를 부추기는 문제가 있다. 최근 들어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온 원ㆍ달러 환율은 어제 하루에만 9원60전이 하락해 단숨에 1,010원대로 주저앉았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멈추면 환율은 더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여기다 원ㆍ엔 환율도 850원대로 떨어졌다. 국제유가의 움직임도 심상찮다. 국제유가는 최근 오름세로 돌아서 다시 배럴당 60달러선을 넘었다. 문제는 이 같은 고유가 현상이 단기간 내 해소될 것 같지 않다는 점이다. 골드만삭스는 유가강세가 앞으로 4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환율하락과 고유가는 우리제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려 기업의 실적 및 수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이는 이제 겨우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는 내수를 다시 위축시키고 결과적으로 경기회복을 더디게 만들 우려가 있다. 대외변수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노력여하에 따라 그 후유증을 크게 줄일 수 있다.투자활성화 및 내수촉진 정책과 기업과 근로자들의 고부가제품 개발 및 생산성향상 노력이 절실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