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송파 신도시' 또 충돌조짐

서울시 "취소·연기" 주장에 건교부 "예정대로"

송파 신도시 조성을 놓고 서울시와 건설교통부간 갈등이 재연될 조짐이다. 이에 따라 송파 신도시 건설 일정에 차질이 우려된다. 이인근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16일 오전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송파 신도시 건설은 취소하거나 최소한 시기를 늦춰야 한다”며 “이 같은 입장을 중앙정부에 이미 건의했다”고 말했다. 이 국장은 또 “중앙정부가 서울시 등 지자체의 뜻에 반해서 강행할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며 “용산공원 문제를 해결했듯이 송파 신도시 문제도 협의를 통해 충분히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낙관했다. 서울시가 이처럼 반대 입장을 보이는 이유는 이 일대 공급물량이 너무 많아 교통난 등이 우려되고, 특히 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강북 뉴타운 등 서울 강남ㆍ북 균형 개발에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서울시의 분석 결과 오는 2010년까지 송파와 강남 일대에 공급될 주택 물량은 잠실주공1~4단지(1만800가구)를 비롯해 가락시영(8,000가구), 잠실시영(7,000가구), 거여ㆍ마천뉴타운(1만8,500가구) 등 민간아파트 6만가구와 장지택지개발지구와 마천, 세곡1ㆍ2 임대주택단지 등에서 공공개발로 공급되는 임대 및 분양아파트 4만가구를 합쳐 총 10만가구에 이른다. 건교부의 발표대로 2009년부터 송파 신도시에서 4만9,000여가구의 분양이 이뤄지면 앞으로 5~6년 내 이 일대에서 공급되는 아파트 물량이 15만가구에 달하는 셈이다. 이와 관련, 건교부의 한 관계자는 “서울시가 연초 송파 신도시 일정을 조정하자는 공식의견을 접수했다”며 “서울시와 원활한 협의를 거쳐 계획된 일정대로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용산미군기지터 81만평에 대해 이 국장은 “부지 전체를 공원으로 조성하고, 공원은 현재 자연녹지지역으로 지정돼 있는 것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용산공원특별법이 국회에서 결정되는 과정에서 건교부 장관이 임의로 용도지역을 변경할 수 없도록 그 권한을 제외하기로 합의한 만큼 앞으로도 존중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