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명품신도시 기대했는데…" 시큰둥

■ 광명·시흥 현지 반응<br>보금자리 지정說에 매수세 끊겨 보상 과정서 주민과 마찰 우려<br>"정부 보상 기대" "또 밀려나나" 세입자들 반응도 엇갈려

분당급 규모의 보금자리주택지구로 개발되는 광명·시흥지 예정지 일대. 논밭 곳곳에는 중·소규모의 공장이 어지럽게 자리잡고 있다. /김동호기자

광명로를 따라 심심치 않게 눈에 띄는 중개업소들. 31일 오전부터 내린 비 탓인지 한산하기만 하다. /김동호기자

광명시가지를 벗어나 왕복 6차선의 광명로를 따라 시흥시 쪽으로 차를 몰다보면 어느 순간부터 길가를 따라 늘어서 있던 상가나 주택 등은 사라지고 수십 개의 비닐하우스만이 빽빽이 들어선 풍경을 만나게 된다. 공장이나 창고로 쓰이는 허름한 건물이 간혹 눈에 띄고 이따금 컨테이너 박스 등 가건물로 보이는 중개업소가 심심치 않게 길가에 자리잡고 있을 뿐이다. 3차 보금자리주택이 공급될 광명ㆍ시흥지구 일대는 정부가 보금자리주택을 공급할 지역으로 꼽으며 언급했던 '서울에 인접하면서도 비닐하우스와 축사 등이 들어서 그린벨트의 기능을 잃은 곳'이라는 표현이 딱 어울리는 곳이다. 광명시 일대는 수년 전부터 끊임없이 개발설이 나돌았다. 정부가 대규모 신도시는 물론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계획을 발표할 때마다 빠짐없이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던 곳이 바로 광명시다. 지난 2006년에는 광명시가 자체적으로 학온동 일대 1,600만㎡에 대한 명품 신도시 건설계획을 제출하기도 했다. 수년 전부터 떠도는 개발 소문으로 이 지역에 대한 매수세가 많아지는 것은 물론 땅값도 많이 올랐다. 인근 주민은 "최근 들어 새로 문을 여는 중개업소도 많고 땅 문제로 찾아온 중개업자만도 3명이었다"며 "값도 많이 올라 3.3㎡당 27만원에 토지를 샀던 사람이 6년 후 3.3㎡당 150만원에 판 경우도 봤다"고 말했다. 하지만 오랜 기다림 끝에 개발계획이 확정됐음에도 토지 소유자들이나 중개업소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그간 언급돼오던 '명품 신도시'가 아니라 '보금자리주택'이 들어선다는 게 이유였다. 광명동 A공인의 한 관계자는 "1차로 지정된 강남 세곡지구의 경우 발표 이후 토지 공시지가가 떨어졌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인근 학온동 B공인 관계자 역시 "명품 신도시 개발계획 소문이 돌 때만 해도 기대 반 우려 반의 토지 매수세가 어느 정도 있었지만 보금자리지구 지정 소문이 돌며 매수세가 뚝 끊겼다"고 설명했다. 토지보상 과정에서 주민들과 사업주체 간 가격을 둘러싼 마찰도 우려된다. 특히 이 일대 상당수 토지 소유주들은 "최근 발표된 표준지 공시지가가 지난해보다 오히려 떨어진 곳이 많다"며 "정부가 보상가격을 낮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감정가격을 내린 게 아니냐"며 시청 등에 항의하기도 했다. 무허가 비닐하우스에 거주하고 있는 세입자들의 반응도 엇갈렸다. 개발로 당장 쫓겨날 경우 또다시 삶의 터전을 잃게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였지만 상당수 세입자들은 '차라리 빨리 개발계획이 확정돼 다행'이라는 반응을 나타냈다. 그나마 정부에서 보상금이라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실제로 무허가 세입자들과 토지 소유주들 간 갈등이 심심치 않게 목격된다는 게 이 일대 주민들의 설명이다. 이 지역의 한 주민은 "최근까지도 빈 땅에 나무를 심는 등 보상을 노린 투기행위가 곳곳에서 이뤄졌다"며 "일부 토지주들은 세입자를 몰아내고 마치 자신이 경작한 것처럼 꾸미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