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급식 대란' 파문 확산

기업체^병원들도 "불안하다" 40여곳 이용 중단<br>CJ푸드와 계약해지 여부도 7월말에나 결정될 듯

CJ푸드시스템으로부터 급식을 제공받고 있는 서울의 한 병원의 환자 보호자가 25일 낮 식기를 반납하고 있다. 병원들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육류의 납품경로를 바꾸는 등 대책수립에 골몰하고 있다./연합뉴스

사상 최악의 ‘점심대란’ 파문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피해 학생들에 대한 역학조사가 2~3주는 걸릴 것으로 예상돼 ‘급식중단’이 장기화될 것으로 우려되는데다 CJ푸드시스템에서 식사를 공급받는 병원과 기업체 내부에서는 “불안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교육인적자원부와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지난 16∼23일 급식사고가 발생한 학교들이 급식업체인 CJ푸드시스템과 위탁급식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업체를 선정하려면 우선 해당 학생들의 식중독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역학조사가 마무리돼야 한다. 하지만 이 조사 결과가 3∼4주 후에야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당 학교와 CJ푸드시스템간의 계약해지 여부는 여름방학이 시작되는 오는 7월 말이나 돼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가 CJ푸드시스템의 잘못으로 판명될 경우 해당 학교와 급식업체의 계약은 자동으로 해지되지만 다른 급식업체를 선정하는 일도 만만치 않다. 학교 측이 급식 업체 선정공고를 내고 학교운영위원회의 업체 선정을 위한 심의 및 협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다 시민단체나 학부모들이 선정과정에 개입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CJ푸드시스템에서 급식을 제공하는 기업 구내식당과 병원 측 관계자들도 고민에 빠졌다. 현재 CJ푸드시스템에서 급식을 받는 병원은 77곳, 기업 구내식당은 386곳에 달한다. 이 가운데 이번 사고 여파로 급식이 중단된 곳은 병원 3곳과 기업 구내식당 40곳뿐이다. 병원 측의 한 관계자는 “이 많은 식사를 당장 공급받을 다른 업체도 없고 불안하지만 어떻게 할 수가 없다”며 “당분간 식자재 검수를 철저히 하는 것 외에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고 호소했다. 사건이 이처럼 확산되자 복지부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음식재료 공급업종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 관리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등 대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음식재료 공급업종을 현행 자유업에서 신고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복지부는 이를 위해 식품위생법 시행령에 ‘음식재료 공급업’을 신설, 별도의 위생시설을 갖춰야 영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복지부 식품정책팀의 한 관계자는 “서울ㆍ인천ㆍ경기 등 수도권 일대에서 벌어진 대형 급식 사고를 계기로 음식재료 공급업소를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돼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