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자실 통폐합 조치는 정권말 막가파식 시도"

문광위, 한목소리 질타…"한군데로 합치고 축소 아니라는 것은 말장난"<br>정부, 정보 가감없이 브리핑 주장도 난센스<br>대통령 지시로 졸속추진…여론수렴 조차 안해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이 28일 국회 문화관광위원회에 출석해 의원들에게 이른바 ‘취재지원 선진화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고영권기자

"기자실 통폐합 조치는 정권말 막가파식 시도" 문광위, 한목소리 질타…"한군데로 합치고 축소 아니라는 것은 말장난"정부, 정보 가감없이 브리핑 주장도 난센스대통령 지시로 졸속추진…여론수렴 조차 안해 홍재원기자 jwhong@sed.co.kr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이 28일 국회 문화관광위원회에 출석해 의원들에게 이른바 ‘취재지원 선진화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고영권기자 관련기사 • "언론자유 억압 소지… 대통령 탄핵사유" • 기자실 없어지면 이런 일이… • "홍보처, 있어서는 안 될 조직" • [지평선] 대통령과 기자실 • "기자실 통폐합 조치, 정권말 막가파식 시도"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 등 정치권은 28일 국회 문화관광위원회를 열어 정부의 기자실 통폐합 조치에 대해 “언론 자유를 제한하는, 참여가 아닌 폐쇄정부”라며 한목소리로 질타했다. 문광위는 이날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을 출석시킨 가운데 전체회의를 열고 정부의 이른바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을 강력 비판했다. 김학원 한나라당 의원은 “이번 조치는 정권 말기 권력 누수 속에서 비밀정보라도 언론에 새지 않도록 해야겠다는 ‘막가파식’ 시도”라며 “(이 정부는) 참여정부가 아니라 폐쇄정부”라고 지적했다. 우상호 열린우리당 의원도 “일부 (취재 관행의) 폐단이 있다고 전체 언론의 자유를 제약하는 것은 안된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취재공간 제한”=김 홍보처장은 이날 문광위 업무보고에서 “정부 1청사의 4개 브리핑룸을 통합브리핑센터에 4개 브리핑룸으로 바꾸는 것이므로 공간 축소가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문광위원들은 “말장난하지 말라”고 일축했다. 전병헌 무소속 의원은 “한군데로 몰아놓고 방을 4개로 나눠 ‘4개’라고 주장하는 것은 견강부회(牽强附會)”라며 “국정홍보처가 언론을 상대로 홍보를 하는 것이 아니라 청와대를 보고 홍보하는 것이 아니냐”며 추궁했다. ◇“밀실ㆍ은폐행정 양산하는 방안”=김 처장은 “사무실 출입을 통제하는 대신 전자브리핑으로 정보를 언론에 충실히 제공하면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의원들은 “정부가 자신의 비리를 가감 없이 브리핑할 것이라는 주장은 난센스”라고 꼬집었다. 정병국 한나라당 의원은 “한화 사건처럼 경찰청에 문제가 생겼을 때 경찰이 사건 전말을 브리핑하겠느냐”며 “정부 조치는 밀실행정과 공직부패를 양산하는 체계”라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전자브리핑제의 사전 질문제도와 관련, “정책 발표 전에 내용을 모르는 상황에서 언론이 어떻게 사전 질문을 할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대통령 지시의 졸속추진도 확인=기자실 통폐합은 국무위원들에 대한 사전 보고와 예산 연구, 여론수렴 없이 사실상 대통령 지시로 졸속추진된 것으로 드러났다. 김 처장은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1월) 해외 사례를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이번 조치 시행과 무관하다고는 할 수 없다”고 했다. 김 처장의 발언을 종합하면 이번 조치는 국무회의 처리 전 국무위원들에게 사전 통보되지도 않았으며 통폐합에 따른 비용과 이에 따른 예산 확보, 여론수렴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력시간 : 2007/05/28 17:2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