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실학자 홍대용의 베이징 여행기

홍대용지음, '산해관 잠긴 문을 한손으로 밀치도다'조선후기 북학파 실학사상의 대가 홍대용의 중국 베이징 여행기록 '산해관 잠긴 문을 한 손으로 밀치도다'(원제:을병연행록)가 출간됐다. 홍대용이 한글로 쓴 '을병연행록'을 최대한 원문을 살려 현대말로 풀이한 책이다. 한글로 최초의 한글 기행문인 이 책은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와 더불어 조선시대 양대 기행문으로 꼽힌다. 홍대용이 베이징을 여행은 중국 건륭제 재위때인 1765년부터 1766에 걸친 6개월 여정. 그는 연행사의 서장관으로 뽑혀 중국에 가게 된 작은 아버지의 개인비서격인 자제군관 자격으로 중국여행에 동참하게 된다. 일기 형식을 띠고 있는 이 책은 과학자이면 사상가였던 홍대용의 지적 호기심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조선과 청, 두 나라의 역사에서부터 주자학ㆍ양명학ㆍ시론ㆍ천문학ㆍ수학ㆍ음악ㆍ병법에 이르기까지 그의 관심폭은 대단히 넓다. 그의 여행기는 중국 문화와 풍속에 대한 기록으로 가치가 높다. 또한 조선시대 북학파의 대중국관을 엿볼수 있는 통로 역할도 한다. 홍대용은 이 책에서 중국의 저잣거리와 여염집 등을 돌아보며 중국의 전통적인 예법에서부터 의식주 문화에 이르기까지 세심하게 관찰하여 기록하였으며, 조선과 중국의 문물을 비교하고 재해석하고 있다. 거대한 만리장성 앞에 선 홍대용은 진시황의 가혹했던 정치를 통렬하게 비판한다. 이 북학파의 사상적 지도자는 백성들의 피와 땀을 짜내 쌓아올린 장성의 역사를 도저히 수용할수 없었던 것이다. 반면 청나라의 문화적 성과를 높게 평가하면서, 일부 조선 선비들의 '오랑캐 배척론'을 일축했다. 한 마디로 이 책은 18세기 조선과 중국의 풍물은 물론, 북학파 실학자의 사상적 면모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문화자산이다. 문성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