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무원칙한 정치권 새판짜기

선거철만 되면 되풀이되는 정치권의 합종연횡이 또다시 국민들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 정치권의 새판짜기가 16대 대통령 선거를 불과 70여일 앞둔 시점에서 원칙과 명분 없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당이나 후보 또는 특정세력이 집권욕에 사로잡혀 '세력 불리기'에 나서면서 정치인들이 이합집산하는 모습은 우리의 후진적인 정치수준을 그대로 보여준다. 정치권에서 일어나는 최근 합종연횡의 초점은 '자민련 끌어안기'에 맞춰져 있다. 노무현 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반대편에 서 있는 당내 반노(反盧)ㆍ비노(非盧)세력 '대통령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후단협)'는 지난 6일 자민련과 공동신당 창당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한나라당은 확실한 정권교체를 위해 자민련과의 연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물밑접촉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무소속 정몽준 의원측도 이달 말 독자신당 창당을 목표로 민주당 이탈세력의 흡수를 추진하고 한나라당의 일부 비주류 의원들에게 손짓하면서 자민련을 끌어들이는 데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각 정당이나 정파가 자민련에 러브콜을 보내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오는 12월19일 치러지는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한 단순한 세력확대 목적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후단협은 노 후보와 정 의원의 후보단일화 압박을 위한 '세력 불리기' 차원에서, 한나라당은 노 후보나 정 의원에 대한 표 쏠림을 막기 위한 전략에서 각각 자민련에 구애(求愛)를 하고 있다. 정 의원측은 원내교섭단체 수준의 독자신당을 만들기 위해 자민련과 접촉하고 있다. 자민련은 충청권을 지지기반으로 14석을 보유하면서 이념적 성향에서 보수색채가 강한 정당이다. 현재 이런 자민련과 추진 중인 어떤 연대나 공조ㆍ합당에서도 정당 또는 정파간 이념 또는 정책의 유사성을 찾기는 힘들다. 어느 정권이든 정당이나 정파의 선명한 이념적 성향과 정강정책에 따라 국민에게 봉사하고 그 결과에 대해 대통령선거에서 국민들로부터 표로 심판받는다. 국민들의 지지도 판단기준에는 국정수행 능력과 도덕성 등 각 정당 후보의 개인적 자질뿐만 아니라 정당의 이념적 노선과 정책방향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는 셈이다. 국민들의 판단을 흐리게 하는 정치권의 어떤 새판짜기 시도도 즉각 중단돼야 한다. 구동본<정치부>기자 document.write(ad_script1); ▲Top | | ||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