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大연구팀, 美해군청 선박연구 수주

미 연방정부 공식연구지원기관인 해군연구청(ONRㆍOffice of Naval Research)의 최첨단 선박생산 연구프로젝트를 국내 연구팀이 수주했다.서울대는 8일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신종계(47) 교수 연구팀이 미국 미시간대학과 공동으로 '선박제조 시뮬레이션 기술개발'연구 프로젝트 계약을 미 해군연구청과 맺기로 합의한 상태"라며 "조만간 공식 계약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외국의 공식연구지원기관이 국내 연구팀에 프로젝트를 의뢰, 지원하는 것은 아주 드문 일로 선박 제조 분야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미 해군연구청은 해군을 위한 과학기술분야 사업을 총괄하는 해군성 산하기관으로 기초과학에서부터 응용기술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미 최대 연구지원 기관 중 하나이며 프로젝트 선정절차가 까다로운 것으로 유명하다. 신교수 연구팀이 이번에 맡은 공동 프로젝트는 선박 외판 가공공정에서 경제성을 평가하는 시뮬레이션 기술을 만드는 것. 시뮬레이션을 통해 진행되는 선박 외판의 '가상 생산' 과정을 통해 제조기술 정교화, 생산공정 오차의 최소화, 인력배치의 효율성 등을 높여 고품질과 생산성을 갖춘 선박외판을 최소의 시간안에 제조할 수 있는 최적의 여건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미 조선 분야의 권위자인 탐 램(Tomb Lamb) 교수가 이끄는 미시간대 조선공학과연구팀과 미시간대 산하 '수송(Transportation)연구소'도 공동연구자로 참여한다. 연구계약기간은 2년이며 신 교수팀을 비롯한 3개 공동연구팀에게 각각 12만달러씩의 연구비가 지원된다. 신 교수 연구팀은 이날 한국을 방문하는 미 해군연구소 관계자와 미시간대 연구팀과 연구 발족모임을 갖고 본격적인 공동연구에 들어가며 계약기간에 e-메일 교환과 상호방문을 통해 공동연구를 시행키로 했다. 신교수는 "이번 연구비 지원으로 선박제조와 관련한 한국의 최첨단 기술이 세계최고 수준임이 인정된 셈"이라며 "이번 연구는 최적조건을 갖춘 선박을 제조하기 위한 기반기술로 선박 종류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석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