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민간인에까지 포격… 유엔 징계회부 검토

[北 연평도 도발] ■ 긴박한 정부 움직임<br>개성공단 체류 국민 신변안전 대책 착수… 전공무원 비상대기령

북한의 서해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해 정부는 국지도발의 최고 대비태세인 ‘진돗개 하나’를 발령했다. 미국ㆍ일본ㆍ중국 등 관련국들과도 이번 사태가 유엔헌장 위반이라는 점을 들어 대책협의에 들어갔다. 이명박 대통령은 사건 직후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열어 신속 정확한 대응을 강구하고 피해자들에 대한 대책을 지시하는 한편 “추가 도발시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아울러 북측의 도발 의도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에도 나섰다. 정부는 이번 사건의 성격을 규명한 뒤 유엔에 징계를 회부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은 “대한민국에 대한 명백한 무력도발”이라고 강력히 비판한 뒤 “민간인에게까지 무차별 포격을 가한 것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 북한 당국은 이번 사태에 대해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군은 이날 오후 남측 장성급회담 대표인 류제승 소장 명의로 북측 장성급회담 대표에게 해안포 사격중지를 촉구하는 전화통지문을 발송한 데 이어 ‘진돗개 하나’를 발령해 추가 도발에 대한 강력한 응징의지를 밝혔다. 합참의 한 관계자는 “군인만 16명이 중경상을 당했고 중상자 4명이 국군수도병원으로 이송되던 중 2명이 사망했다”며 “북한이 해안포를 발사한 원점에 집중 사격을 가했으며 상당한 피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홍 수석은 이와 관련해“우리 측의 대응사격은 교전수칙에 따라 발사한 북한의 포 진지를 즉각 포격해 이뤄졌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오는 25일로 예정된 남북 적십자회담을 무기 연기하는 한편 개성공단과 금강산 지역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대책 마련에 즉각 착수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이날 입ㆍ출경이 종료된 상황에서 개성공단에는 764명, 금강산지역에는 14명의 우리 국민이 각각 체류하고 있다. 이날 하루 개성공단으로 477명이 들어가고 357명이 귀환했다. 외교통상부는 “정전협정, 남북 기본합의서 및 남북불가침 협정을 위반하고 유엔헌장에 저촉되는 것으로 규정한다”고 미국ㆍ중국ㆍ일본ㆍ러시아 등 관련국에 설명하는 한편 신각수 제1차관 중심으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하는 한편 24시간 비상상황실을 꾸렸다. 또한 전 재외공관 직원들에게 비상근무태세를 유지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외교부의 한 당국자는 “국제평화를 규정한 유엔헌장 위반 여부 등 이번 상황의 성격을 규정한 뒤 필요한 조치를 검토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2시34분 연평도에 대한 북한의 해안포 공격이 시작한 직후부터 청와대는 이 대통령 주재로 긴급 수석비서관 회의를 연 데 이어 오후3시께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지하벙커)에서 천영우 외교안보수석 등 참모들과 대책을 논의했다. 또 합참의장ㆍ해군작전사령부ㆍ공군작전사령부 등과 화상회의를 진행했다. 이어 김성환 외교부 장관, 김태영 국방부 장관, 원세훈 국가정보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해 북한의 도발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오후8시30분께 합참으로 이동, 한민구 합참의장을 비롯한 군 관계자들로부터 연평도 피격사태와 관련한 상세한 보고를 받고 향후 작전 및 대응방향을 숙의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 오전 우리 군에 전통문을 보내 “호국훈련과 관련해 북측 영해로 사격을 할 경우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북한군 최고사령부는 이날 오후 “혁명무력은 남조선 괴뢰들이 감히 조국의 영해를 0.001㎜라도 침범한다면 주저하지 않고 무자비한 군사적 대응타격을 계속 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