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뉴욕증시> '불확실성 제거됐다' 반등

14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반발 매수세가 형성되는 가운데 인플레 우려로 금리인상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데 대해 투자자들이 오히려 `시장의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는 평가를 내리면서 막판 상승세를 보였다. 잠정 집계에 따르면 이날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위주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에 비해 110.78 포인트(1.03%) 상승한 10,816.92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도 13.53(0.65%) 포인트 상승한 2,086.00을,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 역시 6.35 포인트(0.52%) 오른 1,230.04를 각각 기록했다. 나스닥의 상승은 9일만이다. 거래소 거래량은 26억5천630만주를, 나스닥 거래량은 20억9천6만주를 각각 기록했다. 거래소에서는 1천658개 종목(49%)이 상승한 반면 1천592개 종목(47%)이 하락했고, 나스닥은 상승 1천619(50%), 하락 1천418개(44%)의 분포를 보였다. 이날 주식시장에서는 그동안 낙폭이 컸다고 인식한데 따른 반발 매수세가 형성된 가운데 골드만삭스가 인텔을 비롯한 주요 반도체 종목들과 보잉에 대한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또 5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가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 보다 높기는 했지만 크게 웃돈 것은 아닌데다 CPI 발표의 악재는 이미 주가에 반영된 상태이며, 이달말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져 시장의 불확실성이 오히려 제거됐다고 판단하는 모습도보였다. 거래 후반 `미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경제가 계속 확장되고 있지만 성장둔화의 조짐이 있으며 인플레 압력도 커지고 있다'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베이지북의 내용이 전해진 것도 같은 맥락의 평가를 받았다. 골드만삭스가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한 인텔은 3.56% 올랐고, AMD와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역시 2.91%와 1.86%가 각각 상승했다. 보잉 역시 골드만삭스가 투자의견을 상향조정한데 힘입어 6.48% 올랐다. 앞서 미 노동부는 지난 5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유가 및 임대료 상승으로 0.4%, 변동성이 심한 에너지와 식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0.3%가 각각 올랐다고 발표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CPI가 0.4%, 근원 CPI가 0.2% 각각 높아졌을 것으로 예측했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