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세청 사칭 '세금환급 사기' 조심

올들어 피해 35건 1억1,329만원 달해

올 들어 국세청을 사칭해 각종 세금을 돌려준다며 납세자를 유인, 피해를 입히는 ‘환급금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29일 국세청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28일까지 발생한 세금 환급금 사기는 35건으로 피해액만도 1억1,329만원에 달했다. 국세청은 사기에 연루된 사람들을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수사 의뢰했다. 국세청의 한 관계자는 “올 들어 유달리 환급금 사기가 늘어난 것은 사기수법이 갈수록 지능화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사기 유형을 보면 종전에는 사기범들이 납세자들에게 전화나 문자 메시지를 통해 “세금 환급이 발생했으니 징세과로 연락주세요”라며 ‘전화번호’를 남겼다. 이어 납세자들이 전화를 걸어오면 성명과 주민등록번호ㆍ계좌번호를 물은 뒤 “전산에 문제가 생겼다”며 본인 확인을 위해 은행 현금입출금기 앞에서 전화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하지만 올 들어서는 “세금 환급이 발생했으니 국세청으로 연락 바랍니다. 바로 환급을 원하시면 9번을 누르세요”라며 증거인멸을 위해 전화번호도 남기지 않고 있다. 납세자들이 9번을 눌러 통화가 되면 신용카드를 갖고 현금입출금기로 가도록 한 뒤 “신분확인을 위해 필요한 ‘금융인증번호’”라며 불러주는 번호를 누르게 하는 수법으로 돈을 빼간다. 국세청은 전국은행연합회에 협조공문을 보내 환급사기를 환기시키는 안내 스티커를 은행 현금입출금기에 부착하도록 한 데 이어 각 은행 지점의 출입문마다 환급사기 주의 안내문을 붙일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