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졸 정규직취업률 하락

0.7%P 떨어져 48%… 비정규직은 3년째 증가


올해 4년제 대학 졸업생의 정규직 취업률은 48%로 지난해보다 0.7%포인트 하락했다. 4년제 대학, 전문대학, 대학원 등 전체 고등교육기관 졸업자들의 정규직 취업률은 3년 연속 하락한 반면 비정규직 취업률은 3년 연속 올라 비정규직 취업자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올해 전국 520개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55만8,9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08년 취업통계조사(지난 4월1일 기준)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올해 전체 고등교육기관 졸업자는 55만8,964명이며 취업자는 38만7,487명으로 취업률은 76.7%를 기록했다. 지난해 취업률(76.1%)에 비해 0.6%포인트 상승했다. 전문대학 취업률이 85.6%로 가장 높았고 일반 대학원이 81.6%, 대학이 68.9%였다. 하지만 정규직 취업률은 오히려 하락했다. 전체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정규직 취업률은 56.1%(28만3,610명)로 지난해(56.8%)보다 0.7%포인트 하락한 반면 비정규직 취업률은 18.8%(9만4,824명)로 지난해 17.7%보다 1.1%포인트 높아졌다. 4년제 대졸 정규직 취업률은 48%로 지난해 48.7%에 비해 0.7%포인트 낮아졌다. 전문대 졸업생과 일반 대학원 석사ㆍ박사 졸업생 정규직 취업률도 각각 64.5%, 60.2%, 61.1%로 모두 지난해에 비해 0.6%포인트 하락했다. 대졸 비정규직 취업률은 19.6%, 전문대는 19.1%, 일반 대학원은 16.8%로 모두 지난해보다 각각 1.7%포인트, 0.6%포인트, 1.0%포인트 높아졌다. 정규직 취업률은 2006년 이후 매년 감소하고 시간제ㆍ일용직 등 비정규직은 증가하고 있다 전체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정규직 취업률은 2006년 58.4%에서 2007년 56.8%, 올해 56.1%로 떨어졌으며 비정규직 취업률은 2006년 15.7%, 2007년 17.7%, 올해 16.8% 등 3년 연속 상승했다. 계열별 취업률은 의약계열이 90.5%로 가장 높았고 예체능 계열 80.7%, 공학계열 78.3%, 자연계열 74.1%, 사회계열 73.8%, 교육계열 73.1%, 인문계열 68.8% 등의 순이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75.4%, 남성이 78.0%로 여성 취업률이 여전히 남성보다 낮았고 정규직 취업률은 여성이 52.3%, 남성이 60.0%로 여성에 대한 차별이 여전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소재 대학의 전체 취업률은 75.2%, 비수도권 소재 대학은 77.7%였으며 권역별로는 영남권 78.4%, 충청권 78.2%, 경인권 77.9%, 호남권 76.9%, 강원 73.8%, 서울권 71.9% 등의 순이었다. ‘졸업자 3,000명 이상’ 대학 가운데 취업률이 70% 이상인 대학은 고려대ㆍ성균관대ㆍ연세대ㆍ한양대ㆍ원광대ㆍ이화여대ㆍ인하대ㆍ동의대 등 8개교였다. ㅁ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