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 동유럽서 탄소배출권 구매 나서

이르면 내주 헝가리와 계약… 체코·폴란드등과도 타진

일본이 빠르면 다음주중 헝가리로부터 탄소배출권을 사들이기로 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3일 보도했다. 신문은 일본이 폴란드, 체코, 러시아 등 동유럽국가들에게서도 배출권 구입을 타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은 내년부터 발효되는 교토의정서 체제 아래서 세계 최대의 탄소배출권 구입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탄소 배출량이 기준년도인 1990년의 8%나 높은 일본은 기준치인 6% 이하로 맞추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해야 한다. 신문은 그러나 일본이 다른 나라로부터 배출권을 구입하는 것은 이산화탄소를 직접 감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환경단체들로부터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이 구입코자 하는 동유럽 국가들의 탄소배출권은 구소련 붕괴이후 산업시설의 붕괴로 인한 이산화탄소 감소분을 감안해 설정된 이른바 '대안적 할당권(AAU)'으로, 이는 국제시장에서 약 25달러에 거래되는 일반 배출권(CER) 보다 가격이 훨씬 싸다. 국제연합(UN)은 선진국 등 36개 의무감축국들이 개발도상국에서 풍력발전소나 메탄가스 회수노력을 하면 그에 상응하는 일반 탄소배출권을 부여한다. 일본은 이미 350메가톤의 CER을 구입하기로 계약을 한 상태이며, 또 다시 AAU를 대량으로 구입할 경우 CER 시장의 붕괴가 예상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맥킨지 도쿄사무소의 가빙 랩터리는 "일본은 미국이 교토의정서에 서명하지 않고 중국과 인도가 의무감축국에 포함되지 않는 한 탄소감축에 막대한 예산을 들이는 것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이라며 "그러나 CER이 아닌 AAU를 사는 것은 지구 환경 개선에 돈을 들이는 것이 아니라 러시아나 동유럽의 관료들의 배만 채우는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