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한주택보증 출자분 손실처리 '전전긍긍'

회계법인-"결산때 최대반영" 별러주택건설업체-"적자 불보듯" 내심 50% 기대 주총을 앞두고 건설업체와 회계법인간에 대한주택보증(옛 주택공제조합) 출자분에 대한 특별손실처리 문제를 놓고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대한주택보증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약 1조1,600억원대의 자본잠식이 예상돼 지난 93년 주택공제조합 설립시 건설업체들이 출자한 3조2,500억원을 이번 결산에서 어느 정도 손실로 반영할 것인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이번 감사에서 적어도 출자금의 50%를 손실로 처리할 경우 건설업체들은 최소 1조6,000억원 이상을 손실을 기록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건설업체들의 흑자규모가 감소하는 것은 물론 일부는 적자전환도 예상된다. ◇회계법인 "반드시 반영해야" 주택보증의 전신인 주택공제조합은 93년 건설회사들이 연대보증의 폐단 등을 줄이기 위해 설립한 것으로 회원건설업체들에 대한 무리한 대출보증과 융자 등으로 도산위기에 처했다. 이에 99년 6월 정부와 채권단은 기존 출자자들에 대한 76%의 감자를 단행하고 신규자금을 투입, 자본금 1조4,486억원의 대한주택보증㈜을 설립했지만 대한주택보증조차 출범 3년 만에 1조1,600억원대의 자본잠식 상태를 보일 정도로 경영상태가 나빠졌다. 올해 유독 건설업체들의 출자금 손실처리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은 주택보증 설립때 단행된 감자 부분을 99년 말 기준 결산에서 전혀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분식회계 문제가 불거지면서 회계법인들이 비난의 눈총을 받고 있고 한국부동산신탁 사태 등으로 건설업계에 대한 불신이 깊어짐에 따라 회계법인들이 건설업체들의 주택공제조합 출자분에 대해 이번에는 반드시 손실처리를 하고야 말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LGㆍ삼성물산은 손실처리 주총을 앞두고 회계법인의 결산감사에서 '적정' 판정을 받아야만 하는 건설업체 입장에서는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이들의 요구를 일정 부분 수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공제조합에 100억원을 출자한 A사의 경우 148억원의 세전 영업이익을 냈지만 출자금 전액을 손실 처리할 경우 30억원의 적자가 예상돼 이번에 50억원만 결손 처리, 손익규모를 20억원 규모로 조정하기로 했다. 또 LG건설은 최근 회계감사에서 공제조합 출자분 215억원을 전액 손실로 처리했으며 삼성물산은 424억원 가운데 70%에 해당하는 297억원에 대해 대손충담금을 쌓기로 했다. ◇동아건설 720억원으로 최대 업체별 출자금은 동아건설이 720억원(99년 6월 기준)으로 가장 많다. 현대건설이 609억원, 현대산업개발이 587억원으로 600억원 가까이 출자했으며 우방과 대우건설이 각각 415억원 405억원 가량을 출자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밖에 주요 상장업체들의 공제조합 출자금은 대림산업 300억원, 벽산건설 191억원, 금호건설 168억원, 동부건설 161억원, 고려산업개발 150억원, 쌍용건설 145억원 가량이다. 또 경남기업 120억원, 코오롱건설 115억원, 풍림산업 114억원, 두산건설 109억원, 신일건업 109억원, 중앙건설은 100억원의 출자금을 각각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종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