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의 대선출마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면서 범여권의 대통령 후보 단일화 논의가 고개를 들고 있다.
범여권의 3대 주자인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이인제 민주당, 문국현 창조한국당 후보가 앞 다퉈 후보 단일화 이슈에 불을 지피기 시작했다.
정 후보는 5일 반(反)부패 전선을 기치로 한 ‘연석회의’ 카드를 꺼내 들었다. 문 후보는 대통령 중임제 개헌과 연정(聯政)을 단일화 의제로 들고 나왔고 이 후보는 개혁세력 재결집을 화두로 정 후보와의 TV토론을 제안했다.
◆ ‘단일대오’ 형성 공감대 확산=후보 단일화 논의의 동력은 범여권 ‘단일대오’ 구성의 공감대 확산이다.
범여권 후보들은 이 전 총재의 출마로 대선구도가 ‘이명박 대 이회창’ 양자대결로 짜여질 경우 한나라당 보수세력에 맞서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대선이 막을 내릴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또 보수진영의 분열양상을 역전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략적 기대감도 범여권 후보 단일화 논의가 탄력을 받는 이유이다.
◆ 줄다리기 팽팽한 단일화 방식=그러나 단일화 방식에 대해서는 후보 간 줄다리기가 팽팽하다. 여기에는 후보들의 복잡한 셈법이 작용하고 있다.
범여권 최대세력의 지지를 얻고 있는 정 후보는 세력통합을 외치고 있고 이에 독자노선을 걷고 있는 문 후보는 권력 분점론을 전제로 하는 연정론으로 맞불을 놓고 있다.
호남기반의 민주당을 이끄는 이 후보 측은 ‘텃밭’이 겹치는 신당과의 세력통합은 피하면서 선거 공조와 공동정부 구성 등 연정방식을 선호하는 기류가 읽혀진다.
◆ 권력분점 전제로 한 연정(聯政) 가능성=후보 단일화에는 개헌 문제가 연결고리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4년 중임제나 내각제 등 후보들이 공감하는 권력구조 개편 문제와 연계해 단일화 논의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
개헌논의와 맞물려 권력분점을 전제로 한 연정 논의가 부상할 수 있다.
촉박한 대선 일정상 세력 간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교통정리해야 하는 세력통합보다는 공동정부 구성이나 권력분점을 전제로 한 연정 논의가 상대적으로 쉬울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이에 따라 범여권 후보 단일화가 이뤄진다면 그 형식은 2002년 노무현ㆍ정몽준 후보 단일화 방식보다는 1997년 DJP(김대중+김종필) 연대 방식이 유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