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日방송, 한국 드라마 편성 줄여

지상파들 지난해 절반 수준에 그쳐<br>華流드라마는 늘어 韓流경쟁자 부상


우리나라 TV프로그램의 최대 수출시장인 일본 지상파방송사들이 한국 드라마 편성을 크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대만, 홍콩 등지 TV프로그램인 이른바 ‘화류’(華流) 드라마는 지상파와 위성방송 모두에서 지난해보다 편성량이 늘어나 앞으로 한류 열풍의 강력한 경쟁자로 떠 오를 것으로 보인다. 7일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이 발간한 ‘일본 내 한류 드라마 편성 실태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월 현재 한국 드라마를 편성한 일본 지상파 방송사는 총 36개로 지난해 2월의 64개에서 절반 가까이 줄었다. 한국 드라마 편성의 감소 추세에는 한류 스타인 배용준과 최지우가 출연한 작품을 재방송하기에는 신선미가 떨어지고, 그렇다고 마땅히 이를 대체할 스타와 작품은 뚜렷하게 나오지 않았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눈에 띄는 점은 충성도 높은 시청자들을 확보하고 있는 유료방송의 경우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한국드라마가 선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와 마찬가지로 유료방송의 경우 충성도 높은 소수의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한류가 일본 내 광범위한 대중으로 퍼지기 보단 일부 매니아를 위주로 한 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위성방송의 경우 BS(지상파 방송사가 운영하는 방송위성채널)는 5개 채널에서 9편을 방송해 지난해 2월의 4개 채널, 5편에 비해 편성 채널과 편수가 모두 늘었고 CS(통신위성ㆍ상업유료방송)에서는 채널 수가 8개로 작년에 비해 2개 줄었지만 편수는 55편으로 10편이 늘었다. BS니혼은 한국 연예계 소식을 전하는 ‘K스타일 열풍 한류’를 자체 제작해 방송하고 있으며 BS아사히는 K-POP을 소개하는 ‘KPOP No.1’을 정규 편성하고 있다. 또 BS-i는 보아의 콘서트나 장동건 스페셜을 방송할 예정으로 한류 드라마의 인기가 새로운 프로그램을 파생시키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한편 대만과 중국, 홍콩 프로그램 등을 일컫는 '화류(華流)' 드라마는 총 18개 방송국(19편)에서 방송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드라마 물량이나 방송국 수에선 한국드라마에 못 미치지만 한국 드라마 편성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초입단계인 화류드라마가 향후 한국물을 대체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방송진흥원 김영덕 연구원은 “화류 드라마의 도전과 가격 경쟁력 약화, 지상파 방송국 편성의 감소 등은 한류 드라마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며 “안정적 편성과 유통을 담보하기 위한 현지 채널사업의 추진과 일본 채널사업자에 대한 자본투자를 통한 유통망 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진출방식이 모색돼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